中(가운데 중,맞을 중: 가운데, 맞다, 마음, 치우침이 없는 것, 좋지도 나쁘지도 아니한 것)에 관한 한자어 및 사자성어를 자세하게 풀이해 드립니다.
[中(가운데 중,맞을 중)에 관한 한자/한자어/사자성어 목록: 122개]
1) 魂飛中天(혼비중천): (1)혼이 하늘의 한가운데에 떴다는 뜻으로, 정신없이 허둥거림을 이르는 말. (2)죽은 사람의 혼이 공중에 떠돌아다님.
2) 夢中相尋(몽중상심): 꿈속에서 서로 찾는다는 뜻으로, 몹시 그리워 꿈속에서까지 찾는 것처럼 매우 친밀함을 이르는 말.
3) 萬軍之中(만군지중): 많은 군사가 진을 친 가운데.
4) 暗中飛躍(암중비약): 어둠 속에서 날고 뛴다는 뜻으로, 남들 모르게 맹렬히 활동함을 이르는 말.
5) 眼中無人(안중무인): 눈에 보이는 사람이 없다는 뜻으로, 방자하고 교만하여 다른 사람을 업신여김을 이르는 말.
6) 醉中無天子(취중무천자): 취중에는 천자도 없다는 뜻으로, 술에 취하면 두렵거나 무서운 것이 없어짐을 이르는 말.
7) 年中無休(년중무휴): (1)일 년 내내 하루도 쉬는 날이 없음. (2)‘연중무휴’의 북한어.
8) 壺中天(호중천): 항아리 속에 있는 신기한 세상이라는 뜻으로, 별천지ㆍ별세계ㆍ선경(仙境) 따위를 이르는 말.
9) 心中有心(심중유심): 마음 속에 마음이 있다는 뜻으로, 마음으로써 마음을 견제한다는 의미에서 이성(理性)으로써 감성(感性)을 억제하는 것 같은 뜻으로 사용됨.
10) 雪中君子(설중군자): 눈 속의 군자라는 뜻으로, 사군자(四君子)의 하나인 매화의 딴 이름임.
11) 無虎洞中(무호동중): 범 없는 골에 이리가 범 노릇 한다는 뜻으로, 높은 사람이 없는 곳에서 보잘것없는 사람이 잘난 체 함을 두고 이르는 말.
12) 藥籠中物(약롱중물): (1)병을 고치는 약처럼 사람의 잘못을 고치도록 하는 것. (2)약롱 속의 약품이라는 뜻으로, 꼭 필요한 사람을 이르는 말. (3)가까이 사귀어 자기편으로 만든 사람.
13) 萬綠叢中紅一點(만록총중홍일점): 전체(全體)가 푸른 잎으로 덮인 가운데 한 송이의 붉은 꽃이 피어 있다는 뜻으로, (1) 평범(平凡)한 것이 많은 가운데서 하나가 뛰어남 (2) 또는 많은 남자(男子) 가운데 여자(女子)가 한 사람 끼여 있음을 이르는 말.
14) 自在其中(자재기중): 그 속에 저절로 들어 있음.
15) 雲中白鶴(운중백학): 구름 속의 흰 학이라는 뜻으로, 인품이 고상한 사람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16) 居之中天(거지중천): 텅 빈 공중.
17) 自中之亂(자중지란): 같은 편끼리 하는 싸움.
18) 棹穿波底月船壓水中天(도천파저월선압수중천): 노는 물결 아래의 달을 뚫고, 배는 물 가운데 하늘을 누름.
19) 井中求火(정중구화): 우물 속에서 불을 구한다는 뜻으로, 어리석어 사리에 밝지 못함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20) 百難之中(백난지중): 온갖 괴로움과 어려움을 겪는 가운데.
21) 無虎洞中狸作虎(무호동중리작호): 범 없는 골에 이리가 범 노릇 한다는 뜻으로, 높은 사람이 없는 곳에서 보잘것없는 사람이 잘난 체 함을 두고 이르는 말.
22) 蓬生麻中不扶自直(봉생마중불부자직): 쑥이 삼 가운데서 자라면 붙들어 주지 않아도 스스로 곧아짐.
23) 多言或中(다언혹중): 말을 많이 하면 그 가운데 더러 말이 맞기도 함.
24) 白雲山上蓋明月水中珠(백운산상개명월수중주): 흰 구름은 산 위의 덮개요, 밝은 달은 물 가운데의 구슬임.
25) 亦參其中(역참기중): 남의 일에 또한 참여함.
26) 山外山不盡路中路無窮(산외산부진로중로무궁): 산 밖에 산이 다함이 없고, 길 가운데에 길이 다함이 없음.
27) 雪中四友(설중사우): 겨울에도 즐길 수 있는 네 가지 꽃. 옥매(玉梅), 납매(臘梅), 동백꽃, 수선(水仙)을 이른다.
28) 忙中閑(망중한): 바쁜 가운데 잠깐 얻어 낸 틈.
29) 夢中夢說(몽중몽설): 꿈속에서 꿈 이야기를 한다는 뜻으로, 무엇을 말하는지 종잡을 수 없음을 이르는 말.
30) 夢中夢(몽중몽): 꿈속의 꿈이란 뜻으로, 이 세상이 덧없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31) 埳中之蛙(감중지와): 우물 안의 개구리라는 뜻에서, 식견(識見)이 좁은 사람의 비유(比喩).
32) 難中之難(난중지난): 어려운 일 가운데서도 가장 어려움.
33) 死中求活(사중구활): 죽을 수밖에 없는 처지에서 한 가닥 살길을 찾음.
34) 眼中之人(안중지인)
35) 鳥逐花間蹀鷄爭草中蟲(조축화간접계쟁초중충)
36) 魚遊釜中(어유부중)
37) 自中之難(자중지난)
38) 言中有骨(언중유골)
39) 風雨場中(풍우장중)
40) 言中之意(언중지의)
41) 男中一色(남중일색)
42) 女中豪傑(여중호걸)
43) 釜中之魚(부중지어)
44) 塚中枯骨(총중고골)
45) 無我夢中(무아몽중)
46) 壺中之天(호중지천)
47) 射空中鵠(사공중곡)
48) 客中寶體(객중보체)
49) 山鳥下廳舍詹花落酒中(산조하청사첨화락주중)
50) 忙中有閑(망중유한)
51) 冥冥之中(명명지중)
52) 非池中物(비지중물)
53) 拔眼中釘(발안중정)
54) 桑中之喜(상중지희)
55) 山中豪傑(산중호걸)
56) 偶爾得中(우이득중)
57) 夢中占夢(몽중점몽)
58) 胸中無墨(흉중무묵)
59) 疊疊山中(첩첩산중)
60) 夢中說夢(몽중설몽)
61) 井中觀天(정중관천)
62) 眼中釘(안중정)
63) 曳尾塗中(예미도중)
64) 井中之蛙(정중지와)
65) 山中開野(산중개야)
66) 如魚遊釜中(여어유부중)
67) 舟中敵國(주중적국)
68) 花中君子(화중군자)
69) 胸中生塵(흉중생진)
70) 庶幾中庸(서기중용)
71) 忙中偸閑(망중투한)
72) 錐處囊中(추처낭중)
73) 口中荊棘(구중형극)
74) 花中王(화중왕)
75) 井中視星(정중시성)
76) 釜中生魚(부중생어)
77) 言中有響(언중유향)
78) 雪中松柏(설중송백)
79) 煙火中人(연화중인)
80) 中途改路(중도개로)
81) 子膜執中(자막집중)
82) 山中歷日(산중역일)
83) 難中之難事(난중지난사)
84) 謀略中傷(모략중상)
85) 死中求生(사중구생)
86) 暗中瞬目(암중순목)
87) 囊中物(낭중물)
88) 無中生有(무중생유)
89) 醉中眞談(취중진담)
90) 五里霧中(오리무중)
91) 花中神仙(화중신선)
92) 墮其術中(타기술중)
93) 杯中蛇影(배중사영)
94) 暗中工作(암중공작)
95) 失於空中(실어공중)
96) 畵中之餠(화중지병)
97) 談言微中(담언미중)
98) 中庸之道(중용지도)
99) 塗中曳尾(도중예미)
100) 沙中偶語(사중우어)
101) 破山中敵易破心中敵難(파산중적이파심중적난)
102) 言中有言(언중유언)
103) 山中宰相(산중재상)
104) 暗中摸索(암중모색)
105) 百發百中(백발백중)
106) 鏡中美人(경중미인)
107) 井中蛙(정중와)
108) 空中樓閣(공중누각)
109) 燭刻場中(촉각장중)
110) 囊中取物(낭중취물)
111) 麻中之蓬(마중지봉)
112) 囊中之錐(낭중지추)
113) 山中白雲(산중백운)
114) 畵中有詩(화중유시)
115) 壺中天地(호중천지)
116) 子莫執中(자막집중)
117) 十中八九(십중팔구)
118) 場中得失(장중득실)
119) 掌中寶玉(장중보옥)
120) 暗中放光(암중방광)
121) 鐵中錚錚(철중쟁쟁): 여러 쇠붙이 가운데서도 유난히 맑게 쟁그랑거리는 소리가 난다는 뜻으로, 같은 무리 가운데서도 가장 뛰어남. 또는 그런 사람을 이르는 말.
122) 途中下車(도중하차): (1)목적지에 닿기 전에 차에서 내림. (2)시작한 일을 끝내지 않고 중간에서 그만둠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Credits]
Contents: https://wordrow.kr/한자/中에-관한-한자-한자성어-사자성어/
Background music: Bensound https://www.bensound.com/royalty-free-music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및 공유 부탁드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