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소남스님-둡타10강 (설일체유부의 수행론,결과론) p57
사성제(四聖諦)의 속성 16행상(16行相)
고성제ㅡ오온은 무상(無常), 고(苦) ,공(空) ,무아(無我)입니다.ᆞ
집성제ㅡ업와번뇌는 인(因),집(集),생(生),연(緣)입니다.
멸성제ㅡ해탈은 멸(滅),정(靜),묘(妙),리(離)입니다.
도성제ㅡ반야의지혜는 도(道),여(如),행(行),출(出)입니다.
2.불교 4대학파의 정의
1)설일체유부(設一切有部)
자증(自證)을 인정하지 않고 외경이 실지로 있다고 주장하는 소승의 학파가 유부의 정의이다.일하파유부,중부 지방 설일체유부의 세 파가 있다.
2)경량부(輕量部)
자증과 외경 두가지 모두 실지로 있다고 주장하는 소승의 학파가 경량부의 정의이다.
경량부는 비유파라고도 불린다.(아비달마구사론)(을 따르는 수교행 경량부와 (칠부량론)을 따르는 수리경량부 두 가지로 나뉜다.
3)유식학파(唯識學派)
외경을 인정하지 않고 의타기성을 실지로 있다고 주장하는 대승의 학파가 유식학파의 정의이다. 진상유식학파와 가상유식학파의 두 파가 있다.
4)중관학파(中觀學派)
실지로 존재하는 법이 티끌만큼도 없다고 주장하는 대승의 학파가 중관학파의 정의이다.자립중관학파와 귀류중관학파의 두 파가 있다.
(용어헤석)
-자증(自證):인식 주체인 식이 인식대상이 되어 식(識)인 자신을 인식하는 식
-외경(外境):유식파의 유심설과 반대되는 개념으로 심식의 외부에 실체의 경계(대상)가 있음을 인정한다.
3.소남스님 법문 음성파일로
둡다 강의는 1강~6강외 다른 법문의 모든 음성파일이 광성사 홈페이지에(아래 자료실에는 소남스님 법문219강에 1,789시간 동안 현교,밀교,교법과 증법의 깊고 광대한 법문이 열려 있습니다)
http://www.koreatibetcenter.com/main/
board.php?board=tb52&command=body&no=273
You Tube주소: https://youtu.be/zho3fh4njSk
-한국티벳불교사원 광성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