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aturday, 27 September, 2025г.
russian english deutsch french spanish portuguese czech greek georgian chinese japanese korean indonesian turkish thai uzbek

пример: покупка автомобиля в Запорожье

 

나무에 관한 한자어/사자성어 166개

나무에 관한 한자어/사자성어 166개У вашего броузера проблема в совместимости с HTML5
나무에 관한 한자어 및 사자성어를 자세하게 풀이해 드립니다. [나무에 관한 한자/한자어/사자성어 목록: 166개] 1) 上早莢樹(상조협수): 조협나무에 오른다는 뜻으로, 공처가를 이르는 말. 2) 圓孔方木(원공방목): 둥근 구멍에 모난 막대기라는 뜻으로, 사물이 서로 맞지 않음을 이르는 말. 3) 薪盡火滅(신진화멸): 나무가 다 타서 없어지고 불이 꺼졌다는 뜻으로, 사람의 죽음이나 사물의 멸망을 이르는 말. 4) 簞食瓢飮(단사표음): 대나무로 만든 밥그릇에 담은 밥과 표주박에 든 물이라는 뜻으로, 청빈하고 소박한 생활을 이르는 말. 5) 無憂樹(무우수): ‘보리수’를 달리 이르는 말. 마야 부인이 보리수 아래에서 싯다르타 태자를 안산하여 근심할 것이 없었다 하여 이렇게 이른다. 6) 催枯拉朽(최고납후): 마른 나무를 꺾고 썩은 나무를 부러뜨린다는 뜻으로, 일이 대단히 용이(容易)함을 이르는 말. 7) 圓木警枕(원목경침): 둥근 나무로 만든 경계하는 베개라는 뜻으로, 둥근 목침으로 베개가 굴러 잠에서 깨도록 만든 것인데, 고학(苦學)을 비유해서 이르는 말로 사용됨. 8) 漁樵閑話(어초한화): 고기잡는 이와 나무하는 이의 한가한 이야기라는 뜻으로, 어부와 나무꾼의 한가한 이야기 같은 명리(名利)를 떠난 이야기를 이르는 말. 9) 毒樹毒果(독수독과): 독이 든 나무의 열매에도 독이 있다는 뜻으로, 법에 어긋난 방법으로 얻은 증거는 증거로 인정할 수 없음을 이르는 말. 10) 四時長靑(사시장청): 소나무나 대나무같이 식물의 잎이 일 년 내내 푸름. 11) 獨木不成林(독목불성림): 홀로 선 나무는 숲을 이루지 못한다는 뜻으로, 여럿이 힘을 합쳐야 일이 된다는 의미(意味). 12) 草根木皮(초근목피): (1)풀뿌리와 나무껍질이라는 뜻으로, 맛이나 영양 가치가 없는 거친 음식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2)한약의 재료를 이르는 말. 13) 如松之盛(여송지성): 솔 나무같이 푸르러 성(盛)함은 군자(君子)의 절개(節槪)를 말한 것임. 14) 十伐之木(십벌지목): 열 번 찍어 베는 나무라는 뜻으로, 열 번 찍어 안 넘어가는 나무가 없음을 이르는 말. 15) 鳴鳳在樹(명봉재수): 명군(名君), 성현(聖賢)이 나타나면 봉(鳳)이 운다는 말과 같이 덕망(德望)이 미치는 곳마다 봉(鳳)이 나무 위에서 울 것임. 16) 木偶石人(목우석인): 나무나 돌로 만든 사람의 형상. 17) 連理枝(련리지): (1)두 나무의 가지가 서로 맞닿아서 결이 서로 통한 것. (2)화목한 부부나 남녀 사이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3)‘연리지’의 북한어. 18) 一樹百穫(일수백확): 나무 한 그루를 심어서 백 가지의 이익을 본다는 뜻으로, 유능한 인재 하나를 길러 여러 가지 효과를 얻음을 이르는 말. 19) 三槐(삼괴): ‘삼공’을 달리 이르는 말. 중국 주나라 때에 조정의 뜰에 세 그루의 회화나무를 심고 삼공이 이를 향하여 앉았다는 데서 유래한다. 20) 驚弓之鳥(경궁지조): 한 번 화살에 맞은 새는 구부러진 나무만 보아도 놀란다는 뜻으로, 한 번 혼이 난 일로 늘 의심과 두려운 마음을 품는 것을 이르는 말. 21) 博而精(박이정): 여러 방면(方面)으로 널리 알 뿐 아니라 깊게도 앎. 즉 '나무도 보고 숲도 본다'는 뜻. 22) 一木難支(일목난지): 한 나무로는 지탱하기 어렵다는 뜻으로, 큰 집이 무너지는 것을 한 기둥으로는 받치지 못하는 것처럼, 기울어지는 대세를 혼자서는 감당할 수 없음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23) 樵童汲婦(초동급부): 땔나무를 하는 아이와 물을 긷는 아낙네라는 뜻으로, 평범한 사람을 이르는 말. 24) 折桂(절계): 계수나무의 가지를 꺾는다는 뜻으로, 과거에 급제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25) 木偶人衣(목우인의): 나무로 만든 인형에 좋은 옷을 입힌다는 뜻으로, 무능한 사람을 비유해서 이르는 말. 26) 干雲蔽日(간운폐일): 구름을 범하고 해를 가린다는 뜻으로, 나무가 높이 솟아 있음을 이르는 말. 27) 凡樹常草(범수상초): 흔히 볼 수 있는 보통의 나무나 풀. 28) 草木怒生(초목노생): 봄이 되어 초목이 싱싱하게 싹이 틈. 29) 木人石心(목인석심): 나무 같은 사람과 돌 같은 마음이라는 뜻으로, 의지가 굳어 어떤 유혹에도 마음이 흔들리지 않는다는 뜻으로 쓰이거나, 목석 같이 감정이 없는 사람의 의미로도 쓰임. 30) 木石草花(목석초화) 31) 樗櫟之材(저력지재) 32) 桑弧蓬矢(상호봉시) 33) 存以甘棠(존이감당) 34) 鬱鬱蒼蒼(울울창창) 35) 刻木爲吏(각목위리) 36) 適地敵樹(적지적수) 37) 傷弓之鳥(상궁지조) 38) 土牛木馬(토우목마) 39) 扶桑(부상) 40) 木石(목석) 41) 破竹之勢(파죽지세) 42) 同氣連枝(동기연지) 43) 梅子十二(매자십이) 44) 輔車(보거) 45) 抱火臥薪(포화와신) 46) 拉朽(납후) 47) 末大必折(말대필절) 48) 松竹梅(송죽매) 49) 桂棹蘭槳(계도난장) 50) 乾木生水(건목생수) 51) 梟木(효목) 52) 枯木發榮(고목발영) 53) 南柯之夢(남가지몽) 54) 枯木生花(고목생화) 55) 圍籬安置(위리안치) 56) 桂玉之艱(계옥지간) 57) 脣齒輔車(순치보거) 58) 木石不傅(목석불부) 59) 簞食豆羹(단사두갱) 60) 合抱之木生於毫末(합포지목생어호말) 61) 難上之木勿仰(난상지목물앙) 62) 篳路藍縷(필로남루) 63) 采薪之憂(채신지우) 64) 毫末斧柯(호말부가) 65) 風樹之嘆(풍수지탄) 66) 直木先伐(직목선벌) 67) 梅雨(매우) 68) 難上之木不可仰(난상지목불가앙) 69) 桑中之喜(상중지희) 70) 鳥喧蛇登樹犬吠客到門(조훤사등수견폐객도문) 71) 滄海桑田(창해상전) 72) 遷喬(천교) 73) 春樹暮雲(춘수모운) 74) 綠陰芳草(녹음방초) 75) 篳門圭竇(필문규두) 76) 土木形骸(토목형해) 77) 聲振林木(성진임목) 78) 桂玉之愁(계옥지수) 79) 大樹將軍(대수장군) 80) 良禽擇木(양금택목) 81) 積薪之歎(적신지탄) 82) 惡木不蔭(악목불음) 83) 負荊請罪(부형청죄) 84) 火樹銀花(화수은화) 85) 米珠薪桂(미주신계) 86) 木石肝腸(목석간장) 87) 食玉炊桂(식옥취계) 88) 出谷遷喬(출곡천교) 89) 桑土綢繆(상토주무) 90) 專修念佛(전수염불) 91) 莫登高樹父母憂之(막등고수부모우지) 92) 柳塘春水漫花塢夕陽遲(류당춘수만화오석양지) 93) 徙木之信(사목지신) 94) 連抱之木(련포지목) 95) 桃李不言下自成蹊(도리불언하자성혜) 96) 松茂柏悅(송무백열) 97) 折槀振落(절고진락) 98) 枯木寒巖(고목한암) 99) 桂玉(계옥) 100) 移木之信(이목지신) 101) 採薪之憂(채신지우) 102) 松竹之節(송죽지절) 103) 不毛之地(불모지지) 104) 落木寒天(낙목한천) 105) 梅林止渴(매림지갈) 106) 木皮三寸(목피삼촌) 107) 方長不折(방장부절) 108) 等神(등신) 109) 植松望亭(식송망정) 110) 十長生(십장생) 111) 木石心腸(목석심장) 112) 天高日月明地厚草木生(천고일월명지후초목생) 113) 摧枯拉朽(최고납후) 114) 野廣天低樹江淸月近人(야광천저수강청월근인) 115) 彫朽(조후) 116) 木婚式(목혼식) 117) 負薪之憂(부신지우) 118) 賣子(매자) 119) 雕朽(조후) 120) 積薪之嘆(적신지탄) 121) 草木皆兵(초목개병) 122) 滄桑(창상) 123) 惡木盜泉(악목도천) 124) 依草附木(의초부목) 125) 四君子(사군자) 126) 桂玉之地(계옥지지) 127) 輔車相依(보거상의) 128) 山川草木(산천초목) 129) 木從繩則正(목종승즉정) 130) 盲龜浮木(맹귀부목) 131) 桂林一枝(계림일지) 132) 盲龜遇木(맹귀우목) 133) 竹頭木屑(죽두목설) 134) 反裘而負薪(반구이부신) 135) 南柯夢(남가몽) 136) 比翼連理(비익연리) 137) 堯鼓舜木(요고순목) 138) 千枝萬葉(천지만엽) 139) 歲寒三友(세한삼우) 140) 毫毛斧柯(호모부가) 141) 櫨木櫃(로목궤) 142) 乾木水生(건목수생) 143) 劍林地獄(검림지옥) 144) 等像(등상) 145) 朽木糞墻(후목분장) 146) 臥薪嘗膽(와신상담) 147) 南橘北枳(남귤북지) 148) 吐佳言如屑(토가언여설) 149) 炊玉焚桂(취옥분계) 150) 鳥宿池邊樹僧敲月下門(조숙지변수승고월하문) 151) 千無一失(천무일실) 152) 江南一枝春(강남일지춘) 153) 連理(연리) 154) 剛木水生(강목수생) 155) 花發千山紅葉生萬樹靑(화발천산홍엽생만수청) 156) 鶯遷(앵천) 157) 誹謗之木(비방지목) 158) 南柯一夢(남가일몽) 159) 枯木死灰(고목사회) 160) 緣木求魚(연목구어) 165) 木石難得(목석난득): 의지할 곳이 없는 처지를 이르는 말. 166) 木强則折(목강즉절): 나무가 강하면 꺾어진다는 뜻으로, 강한 나무가 풍설(風雪)에 꺾이기 쉽듯이 너무 강하면 도리어 멸망하기 쉬움을 비유하는 말. [Credits] Contents: https://wordrow.kr/한자/나무에-관한-한자-한자성어-사자성어/ Background music: Bensound https://www.bensound.com/royalty-free-music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및 공유 부탁드려요.
Мой аккаунт