木(나무 목: 나무, 오행(五行)의 첫째, 나무를 재료로 하여 만든 기구, 널, 고랑·차꼬 등 형구(刑具))에 관한 한자어 및 사자성어를 자세하게 풀이해 드립니다.
[木(나무 목)에 관한 한자/한자어/사자성어 목록: 70개]
1) 風木之悲(풍목지비): 효도를 다하지 못한 채 어버이를 여읜 자식의 슬픔을 이르는 말.
2) 圓孔方木(원공방목): 둥근 구멍에 모난 막대기라는 뜻으로, 사물이 서로 맞지 않음을 이르는 말.
3) 草木俱朽(초목구후): 초목과 함께 썩는다는 뜻으로, 세상에 이름을 남기지 못하고 죽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4) 圓木警枕(원목경침): 둥근 나무로 만든 경계하는 베개라는 뜻으로, 둥근 목침으로 베개가 굴러 잠에서 깨도록 만든 것인데, 고학(苦學)을 비유해서 이르는 말로 사용됨.
5) 獨木不成林(독목불성림): 홀로 선 나무는 숲을 이루지 못한다는 뜻으로, 여럿이 힘을 합쳐야 일이 된다는 의미(意味).
6) 草根木皮(초근목피): (1)풀뿌리와 나무껍질이라는 뜻으로, 맛이나 영양 가치가 없는 거친 음식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2)한약의 재료를 이르는 말.
7) 十伐之木(십벌지목): 열 번 찍어 베는 나무라는 뜻으로, 열 번 찍어 안 넘어가는 나무가 없음을 이르는 말.
8) 木偶石人(목우석인): 나무나 돌로 만든 사람의 형상.
9) 一木難支(일목난지): 한 나무로는 지탱하기 어렵다는 뜻으로, 큰 집이 무너지는 것을 한 기둥으로는 받치지 못하는 것처럼, 기울어지는 대세를 혼자서는 감당할 수 없음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10) 木偶人衣(목우인의): 나무로 만든 인형에 좋은 옷을 입힌다는 뜻으로, 무능한 사람을 비유해서 이르는 말.
11) 獨木橋冤家遭(독목교원가조): 원수(怨讐)는 외나무다리에서 만난다는 속담(俗談)의 한역으로, 회피(回避)할 수 없는 경우(境遇)를 가리킴. 일이 나쁜 형태(形態)로 공교(工巧)롭게 마주치는 것을 이르는 말.
12) 剛毅木訥(강의목눌): 강직하고 굳세며 순박하고 말투가 어눌함.
13) 草木怒生(초목노생): 봄이 되어 초목이 싱싱하게 싹이 틈.
14) 木人石心(목인석심): 나무 같은 사람과 돌 같은 마음이라는 뜻으로, 의지가 굳어 어떤 유혹에도 마음이 흔들리지 않는다는 뜻으로 쓰이거나, 목석 같이 감정이 없는 사람의 의미로도 쓰임.
15) 木石草花(목석초화): 나무ㆍ돌ㆍ풀ㆍ꽃이라는 뜻으로, ‘자연’을 이르는 말.
16) 刻木爲吏(각목위리): 나무를 깎아 관리(官吏)의 형상을 만든다는 뜻으로, 옥리(獄吏)를 심(甚)히 미워해 이르는 말.
17) 土牛木馬(토우목마): 흙으로 만든 소와 나무로 만든 말이라는 뜻으로, 겉은 훌륭하나 실속이 없는 것처럼, 가문이 좋을 뿐 아무 재능이 없는 사람을 이르는 말로 사용됨.
18) 木石(목석): (1)나무와 돌을 아울러 이르는 말. (2)나무나 돌처럼 아무런 감정도 없는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19) 乾木生水(건목생수): 마른나무에서 물이 난다는 뜻으로, 아무것도 없는 사람에게 무리하게 무엇을 내라고 요구함을 이르는 말.
20) 草木同腐(초목동부): 초목과 함께 썩는다는 뜻으로, 세상에 이름을 남기지 못하고 죽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21) 梟木(효목): 죄인의 목을 베어 높이 매달던 나무.
22) 枯木發榮(고목발영): (1)말라 죽은 나무에서 꽃이 핀다는 뜻으로, 곤궁한 처지에 빠졌던 사람이 행운을 만나서 잘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2)말라 죽은 나무에서 꽃이 핀다는 뜻으로, 늘그막에 아기를 낳거나 대가 끊길 지경에 대를 이을 아들을 낳음을 이르는 말.
23) 枯木生花(고목생화): (1)말라 죽은 나무에서 꽃이 핀다는 뜻으로, 곤궁한 처지에 빠졌던 사람이 행운을 만나서 잘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2)말라 죽은 나무에서 꽃이 핀다는 뜻으로, 늘그막에 아기를 낳거나 대가 끊길 지경에 대를 이을 아들을 낳음을 이르는 말.
24) 木石不傅(목석불부): 나무에도 돌에도 붙일 데가 없다는 뜻으로, 의지할 곳이 없는 처지를 이르는 말.
25) 合抱之木生於毫末(합포지목생어호말): 한아름되는 나무도 싹에서 자란다는 뜻으로, 사물(事物)은 미세(微細)한 것에서 시작(始作)됨을 이르는 말.
26) 化被草木(화피초목): 덕화(德化)가 사람이나 짐승 뿐만 아니라 초목(草木)에까지도 미침을 말함.
27) 木子得國(목자득국): 고려 중기의 동요. ‘목자’는 ‘이’의 파자(破字)로서 이씨가 장차 왕이 될 것임을 예언한 노래이다. ≪고려사≫에 전하며 작자와 가사는 알 수 없다.
28) 難上之木勿仰(난상지목물앙)
29) 直木先伐(직목선벌)
30) 難上之木不可仰(난상지목불가앙)
31) 落木空山(락목공산)
32) 土木形骸(토목형해)
33) 聲振林木(성진임목)
34) 良禽擇木(양금택목)
35) 干木富義(간목부의)
36) 惡木不蔭(악목불음)
37) 木石肝腸(목석간장)
38) 徙木之信(사목지신)
39) 木旺之節(목왕지절)
40) 連抱之木(련포지목)
41) 枯木寒巖(고목한암)
42) 移木之信(이목지신)
43) 落木寒天(낙목한천)
44) 木皮三寸(목피삼촌)
45) 向陽花木(향양화목)
46) 木石心腸(목석심장)
47) 天高日月明地厚草木生(천고일월명지후초목생)
48) 木婚式(목혼식)
49) 草木皆兵(초목개병)
50) 惡木盜泉(악목도천)
51) 依草附木(의초부목)
52) 山川草木(산천초목)
53) 寸木岑樓(촌목잠루)
54) 木從繩則正(목종승즉정)
55) 盲龜浮木(맹귀부목)
56) 泰山樑木(태산양목)
57) 盲龜遇木(맹귀우목)
58) 竹頭木屑(죽두목설)
59) 堯鼓舜木(요고순목)
60) 木壚酒店(목로주점)
61) 櫨木櫃(로목궤)
62) 乾木水生(건목수생)
63) 朽木糞墻(후목분장)
64) 剛木水生(강목수생)
65) 誹謗之木(비방지목)
66) 枯木死灰(고목사회)
67) 緣木求魚(연목구어)
68) 緣高木望四方(연고목망사방)
69) 木石難得(목석난득): 의지할 곳이 없는 처지를 이르는 말.
70) 木强則折(목강즉절): 나무가 강하면 꺾어진다는 뜻으로, 강한 나무가 풍설(風雪)에 꺾이기 쉽듯이 너무 강하면 도리어 멸망하기 쉬움을 비유하는 말.
[Credits]
Contents: https://wordrow.kr/한자/木에-관한-한자-한자성어-사자성어/
Background music: Bensound https://www.bensound.com/royalty-free-music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및 공유 부탁드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