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진행 : 차정윤 앵커
■ 출연 : 최영일 / 시사평론가, 이종훈 / 정치평론가
* 아래 텍스트는 실제 방송 내용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보다 정확한 내용은 방송으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앵커]
최영일 시사평론가, 이종훈 정치평론가 나오셨습니다. 두 분 어서 오세요. 먼저 저희가 영상에서도 보여드렸는데 민주당 이인영 원내대표가 임미리 교수 고발 취하 논란에 대해서 송구하다면서 고개를 숙였습니다. 좀 늦은 감이 있지만 지도부의 첫 공식사과 발언입니다. 평론가님 어떻게 보셨습니까?
[최영일]
좀 낮은 감은 있죠. 사실 임미리 교수의 칼럼 논란은 좀 잦아들고 있다. 일단은 고발을 취하할 때부터 이 문제는 사그라들었는데 다만 사과 문제가 있었어요. 저는 이게 칼럼 내용에 대한 어떤 본질적인 토론이라기보다는 민주당, 집권여당의 태도에 대한 여론의 비판. 여기에 대한 민주당의 어떤 반응이 나올 것인가가 예의주시됐던 대목인데 여기서 포문을 먼저 연 것은 이낙연 전 총리. 지금 종로구에 예비후보로 뛰고 있지 않습니까? 그런데 어찌 보면 공동선대위원장 중의 한 명으로, 그 자격으로 개인 소견이기는 하지만 이건 사과해야 마땅하다. 고발은 바람직하지 않았다 이 일성을 열었고 거기서 강조된 키워드가 겸손이에요. 지금 이인영 원내대표의 이야기도 그렇고 또 민주당 내 여러 중진의원들의 반응을 하나로 모으면 겸손이거든요. 지금 우리가 총선을 앞두고 집권여당으로서 오만해 보여서는 안 된다, 독선으로 보여서는 안 된다. 그런데 이 임미리 교수의 칼럼 사태가 설혹 지금 여당인 민주당이 좀 오만한 거 아니야? 이런 이미지를 만들어낼 수 있는 요소들이 많기 때문에 거기에 대해서는 늦은 감은 있지만 대신 빠르게 속전속결로 진화에 들어갔다 이렇게 볼 수 있겠습니다.
[앵커]
이번 이인영 원내대표의 발언을 보면 이밖에도 검찰개혁과 집값안정에 대해서도 사과를 했는데 이와 관련한 부정적인 여론을 좀 느끼고 있다, 이렇게 봐도 될까요?
[이종훈]
그렇죠. 이상을 감지하기 시작한 거예요. 조금 전에 신속하게 대응을 한 것처럼 이렇게 평가를 하셨는데 저는 사실은 정반대로 평가를 해요. 그러니까 사실은 때늦은 사과가 나왔다 이렇게 생각을 합니다. 그러니까 고발을 철회했을 그 시점에 사과를 했거나 사실은 따지고 보면 고발을 철회한 시점조차도 저는 좀 늦지 않았나 이런 생각이 좀 들거든요. 여론이 상당히 악화되고 불이 붙기 시작하니까 그때서야 반응을 보이기 시작했고 게다가 아직까지 이해찬 대표는 아무 말도 없습니다. 이게 정상이냐는 거예요. 그러니까 고발을 할 때는 당의 사무총장 명의로 했는지 누구 명의로 했는지는 모르겠으나 어찌됐건 당명으로 지금 고발을 한 거 아니겠습니까? 그러면 당의 모든 공식적인 행위와 관련한 최종 책임자가 누구인가요? 대표 아닙니까? 설령 대표가 자세한 내용을 몰랐다고 하더라도 이런 일이 불거졌을 때는 일단 대표가 전면에 나서서 불을 끄는 것이 맞다. 그런데 지금 아직도 그게 이뤄지지 않고 있는 것. 이런 것에서도 여전히 국민들이 보기에는 이해찬 대표 워낙 강성인 건 잘 알고 있으나 여전히 별로 그렇게 이번 사태와 관련해서도 본인 개인적으로는 미안하다는 생각이 없다보다. 이렇게 생각을 한다는 거예요. 그게 과연 더불어민주당에게 유리할까요? 저는 그 부분이 의문입니다.
[앵커]
그렇다면 이쯤에서 정당 지지도 여론조사 한번 살펴보겠습니다. YTN이 여론조사기관 리얼미터에 의뢰해서 조사한 내용인데요. 2월 둘째 주 주간집계 결과입니다. 더불어민주당이 지난주... (중략)
▶ 기사 원문 : https://www.ytn.co.kr/_ln/0101_202002182308378178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email protected], #2424
▣ YTN 유튜브 채널 구독 : http://goo.gl/Ytb5SZ
ⓒ YTN & YTN PLUS 무단 전재 및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