쫑카빠대사 열반 600주년 기념 학술대회 "티벳불교 톺아보기"3부 종합토론(2019년10월25일)
쫑카빠대사의 '요의불요의선설장론'
강의: 게시 소남 스님
내용: 쫑카빠대사의 중관사상 '인무아 법무아에 대한 불교 사대학파별 견해'
"대자대비의 마음으로 일체중생의 모든 상(相)을 제거하기 위해 바른 법을 설해주신 고따마 부처님께 예경합니다.
" 용수보살의 중론 마지막 게송으로 위대한 스승 용수보살께서는 거룩한 부처님에 대한 소개를 세 가지 면에서 해주셨습니다.
첫번째 대자대비의 마음동기와
둘째 일체중생의 전도된 견해를 제거하려는 목적.
셋째 연기와 공성이 둘이 아닌 바른 법을 설하는 방법 입니다.
(귀류논증중관학파의 인무아와 법무아에 대한 견해)
༄།དབུ་མ་འཇུག་པ་ལས། 우마 죽빠래
བདག་མེད་འདི་ནི་འགོ་བ་རྣམས་དགོལ་ཕིར།། 닥메 디니 돌와 남돌치르
ཆོས་དང་གང་ཟག་དབེ་བས་རྣམ་གིས་གསུངས།། 최당 강삭 예외 남니쑹
(입중론)에서 무아는 중생들을 해탈시키기 위해 법法과 인人 둘로 구분해 설해졌다.
라고 설하신 바와 같이 귀류논증중관학파는 무아라고 할 때 부정의 대상인 ‘아’에 대해서
자립논증중 관학파 이하의 견해와는 달리 자성을 말하며, 즉 무아와 무자성을 같은 의미로 봅니다.
인무아와 법 무아가 부정해야 할 대상은 똑같지만, 그 기준이 다릅니다.
여기서 말하는 부정의 대상은 자성을 말 하며, 나를 기준으로 자성이 없는 것 즉 내가 무자성인 것은 인무아이고,
오온을 기준으로 자성이 없 는 것 즉 오온이 무자성인 것은 법무아입니다.
이런 관점에서 모든 법에 자성이 없는 것을 제법무아 의 뜻으로 쉽게 이해할 수 있습니다.
이와 달리 자립논증중관학파 이하의 견해대로 무아의 뜻을 자아(atman)가 없다는 의미로만 이해 하게 되면
제법무아의 뜻을 제대로 이해함에 어려움이 있습니다. 예를 들면 내가 무아라고 하는 것 처럼 오온이 무아이고,
염주가 무아라고 하는 것을 이해하기 어려운 것과 같습니다. 귀류논증중관학파의 견해대로 자성이 없다고 하는
무자성과 무아를 동의로 보아 제법무아의 의미 를 쉽게 해석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면,
모든 법을 나와 내가 아닌 법의 둘로 나누어 나의 자성이 없는 것은 인무아,
내가 아닌 모든 법의 자성이 없는 것을 법무아로 일관성 있게 주장할 수 있습니 다.
법이 자성이 없다거나 실체가 없다고 말하기는 쉽지만 자성과 실체가 없는 동시에
연기법으로 있 다고 하는 존재 방식이 성립되어야 함에도 불구하고 명언위량(名言爲量 ཐ་སད་ཚད་གྲུབ།) 또는
명언성립 (名言成立 ཐ་སད་དུ་ཡོད་པ།)을 인정하기가 무척 어렵습니다. 다시 말해서 없다고
부정하기는 쉽지만, 있다 20 고 증명하기는 어려운 것입니다. 자성으로 없는 것과
연기법으로 있는 것 둘이 모순 없이 한 대상에 양립할 수 있는 진공묘유의 뜻을 깨닫는 것이 중요합니다.
나를 전체와 부분으로 나누어 분별할 때, 마침내 이것이 ‘나’라고 할 수 있는 것이
아무것도 없음을 안다고 해서 진정으로 무아를 아는 것이 아닙니다. 왜냐하면 이는
불교를 공부하지 않은 일반인들도 쉽게 알 수 있기 때문입니다. 진짜 무아와 공성을 안다고 한다면
자신의 마음속 탐진치가 줄어들어 특히 아상과 아집을 직접적 으로 대치할 수 있는 힘을 얻어야 합니다.
무아, 무자성을 바르게 이해하려면 다음의 세 가지 조건을 갖추어야 합니다.
첫째 공성을 바르게 가르쳐주신 스승을 잘 모셔야 합니다.
둘째, 공성을 바르게 설 하신 경전을 꾸준히 배워야 합니다.
셋째, 공성을 바르게 이해할 수 있도록 수없이 많은 복덕자량을 쌓고 업장을 소멸하는 참회수행을 거듭거듭해야 합니다.
그렇다면 귀류논증중관학파가 부정하고 있는 대상인 자성이 무엇인지 묻는다면 자성과 다음의 13 가지 모두를 동의라고 주장합니다
. ① རང་བཞིན་གིས་གྲུབ་པ། 自性成立 자성성립 ② རང་མཚན་གིས་གྲུབ་པ། 自相成立 자상성립
③ རང་ངོས་ནས་གྲུབ་པ། 自體成立 자체성립 ④ རང་དབང་གིས་གྲུབ་པ། 自力成立 자력성립
⑤ རང་ཚུགས་ཀིས་གྲུབ་པ། 自在成立 자재성립 ⑥ བདེན་པར་གྲུབ་པ། 諦實成立 제실성립
⑦ དོན་དམ་པར་གྲུབ་པ། 勝義成立 승의성립 ⑧ ཚུགས་ཐུབ་གིས་གྲུབ་པ། 他方成立 타방성립
⑨ ལྟོས་མེད་ཀིས་གྲུབ་པ། 不依賴成立 불의뢰성립 ⑩ རྫས་སུ་གྲུབ་པ། 實質成立 실질성립
⑪ ངོ་བོ་ིད་ཀིས་གྲུབ་པ། 本質成立 본질성립 ⑫ མ་ལྟོས་པར་གྲུབ་པ། 不依賴成立 불의뢰성립
⑬ མ་བརྟེན་པར་གྲུབ་པ། 不依靠而成立 불의고이성립
(한국티벳불교사원 광성사 안내 )
한국에 설립된 유일한 티벳 사찰로 티벳불교와 티벳 스승님 들의 말씀을 한국에 널리 전하 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고대 인도의 위대한 대사원인 날란다와 비까말라실라에서 부 처님의 가르침을 여러 논서를 통해 배우고
실천한 것과 같이 현재 티벳에서도 티벳어로 현교와 밀교 등 부처님의 가르침을 배 우고 있습니다.
한국티벳불교사원은 이러한 전통을 바탕으로 티벳 과 한국 두 나라의 불교문화 교류를 위해 설립되었습니다.
여러 논장을 통해 경전을 쉽고 깊게 배울 수 있도록 티벳어로 된 경과 논서들을 한국어로 꾸준히 번역하고 있으며,
부처님의 모 든 가르침의 핵심을 차례대로 배울 수 있는 [람림]을 가르치고 있습니다.그 외
티벳불교와 문화를 알리기 위해 입보리행론 법회와 티벳 큰스님 초청법회, 티벳불교 문화캠프,
티벳 명상, 티벳어 강좌 등 을 정기적으로 진행하고 있습니다.한국티벳불교사원은 티벳불교를
한국에 널리 전하기 위해 앞으로도 많은 노력을 기울이겠습니다. 우리 모두 한마음으로 삼보에
귀의하여 부처님의 가르침을 내 삶의 등불로 삼아 부지런히 배우고 실천하고자 수행 정진합시다.
A.게시 소남 스님 강의 소개
게시 소남스님 께서는 현교, 밀교, 교법과 증법의 깊고 광대한 법문을 아래와 같이 강의를 하고 계십니다.
연기법의 지혜,티벳스님과 함께 하는 (반야심경)공부,티벳 스승들의 수행 이야기, 마음을 청정히 닦는 기도문,
공덕의 근원,까담 스승 랑리 탕빠의 『마음 다스리는 여덟 가지 게송』외 삼요도 (출리심,보리심,공성의 바른견해),
팔불중도의 중관사상,사대학파(종의 보만론),논리학의 딱셀(논리), 불교의 심류학,반야학,구사론,입보살행론,
37보살행론,입중론,보만론,보리도등론등 수 많은 논서와 경을 오늘도 계속해서 강의를 하시며,
2019.12.04 현재 까지 게시 소남스님 음성 법문집에는1차~473차까지 3,077시간를 강의하셨으며,
동영상은 YouTube, Facebook에 현재 613강 동영상 법문이 올려져 있습니다.
밴드주소 광성사 band.us/@koreatibetcenter
다음카페주소 한국티벳센타 http://cafe.daum.net/koreatibetcenter
홈페이지 주소 광성사 http://www.koreatibetcenter.com/main/board.php?board=tb52&command=body&no=266
YouTube 주소 한국티벳불교사원 광성사 https://www.youtube.com/channel/UCWHAheBBkhJUtxEYJyTAPyA
Facebook 주소 한국티벳불교사원 광성사 https://www.facebook.com/pg/sukkang1976/videos/?ref=page_internal
B.법회 안내
1)수요일(매주)오후7시30분~9시30분. 날란다 전통방식에 의한 불교기초 강의 (2019년3월7일수요일 첫개강)
2)토요일(매주) 람림오후2시~5시30분.쫑카빠 대사님의 '보리도차제 광론' 강의
3)일요일(매주) 오후2시~5시30분.샨티데바(적천)의 '입보살행론' 강의
4) 1박 2일캠프 매월에 한번 (중론, 보만론.날란다17논사기원문.삼요도. 보리심석론 .밀라레빠십만송등 주로 논서 위주로 13시간 강의 및 대승 포살 수계 의식)
5)기타: 명상수련,티벳어학공부, 큰스님 초청 법회(린포체)
C.기도 법회
1)팔천송반야바라밀다경 독경기도 매주 화,목요일 오후7시~8시30분 지도법사: 게시 소남 규메 스님
2)따라보살 기도, 티벳 대장경 천일 기도: 입재일~2018년5월29일, 밀교의식 기도(수호존 공양 기도)는 매월 월,화 오전1 0시이며 그외,바르도49제기도, 천도기도, 백중기도, 지장전 인등기도축원
3)후원개좌:농협 923-01-353560
D.주소및 연락처
주소;부산광역시 서구 해돋이로250
연락처:051-243-2468
-한국티벳불교사원 광성사 KOREA TIBET CENT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