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aturday, 27 September, 2025г.
russian english deutsch french spanish portuguese czech greek georgian chinese japanese korean indonesian turkish thai uzbek

пример: покупка автомобиля в Запорожье

 

소남스님-수요『불교기초』 공부 35강 '귀의심과 보리심' (2020.01.29수).

소남스님-수요『불교기초』 공부 35강 '귀의심과 보리심' (2020.01.29수).У вашего броузера проблема в совместимости с HTML5
소남스님-수요『불교기초』 공부 35강 '귀의심과 보리심' (2020.01.29수). [뒤다(섭류학攝類學)]는 (인명학)의 문을 여는 열쇠와 같은 논리 이론을 최초로 배우는 과목으로, 티베트의 스승이신 차빠 최끼 생게께서 경량부(輕量部)의 이론 방식을 접목하여 량(量)의 전반적인 의미를 요약하여 ‘뒤다’라고 정했다. (뒤다)는 소논리(小論理), 중논리(中論理), 대논리(大論理) 세 가지로 나뉘며, 기(基), 도(道), 과(果) 중 주로 존재론에 대해 가르치고 있다. (논쟁의 대상에 대한 개념 및 정의 일부)  기성(基成, གཞི་གྲུབ་): 량(量), 즉 바른 식(識)으로 성립하는 것.  소지(所知, ཤེས་བྱ་): 마음의 대상으로 타당한 것.  유(有, ཡོད་པ་): 량(量), 즉 바른 식(識)으로 보는 것.  법(法, ཆོས་): 자신의 성품을 지닌 것.  존재(存在, ཡུལ་): 있는 것. 위 5가지는 같은 뜻(동의同義)이다. 이 기성(基成)을 무상(無常)과 유상(有常), 사물(事物)과 비사물(非事物), 유위법(有爲法)과 무위법(無爲法), 자상(自相)과 공상(共相), 승의제(勝義諦)와 세속제(世俗諦)의 10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  기성(基成, གཞི་གྲུབ་)의 분류  무상(無常, མི་རྟག་པ་): 찰나(刹那)인 것.  유상(有常, རྟག་པ་): 찰나인 것 아닌 것과 동시에 법(法)인 것. 법에 속하고 찰나인 것이 아닌 것.  사물(事物, དངོས་པོ་): 작용(行)할 수 있는 것.  비사물(非事物, དངོས་མེད་): 작용(行)할 수 없는 것.  유위법(有爲法, འདུས་བྱས་): 생(生)·주(住)·멸(滅)의 3가지 속성을 가진 법.  무위법(無爲法, འདུས་མ་བྱས་): 생(生)·주(住)·멸(滅)의 3가지 속성을 가지지 않은 법.  자상(自相, རང་མཚན་): 이름과 분별지(分別智)로 성립되지 않고 자성으로 성립된 법.  공상(共相, སི་མཚན་): 이름과 분별지로만 성립된 법.  승의제(勝義諦, དོན་དམ་བདེན་པ་): 진실로 작용 또는 행할 수 있는 법.  세속제(世俗諦, ཀུན་རོབ་བདེན་པ་): 진실로 작용 또는 행할 수 없는 법. 기성,무상, 사물, 유위법, 자상, 승의제의 5가지는 표현만 다를 뿐 모두 같은 뜻(동의)이다. 유상, 비사물, 무위법, 공상, 세속제의 5가지도 마찬가지이다. *바라밀승:원인승 금강승:결과승 (부처님의 10력) :일체를 깨달아 아는 부처님의 불가사의한 힘을 말한다. 1. 처비처지력 바른 도리와 바르지 못한 도리를 변별하여 여실히 아시는 능력. (해석)보시의 공덕으로 재물이 들어오는 것과 인색의 결과로 재물이 들어오지 않는 것의 도리 2. 업이숙지력 과거와 현재, 미래에 얻는 모든 업의 과보에 대해 그 이유 원인을 다 아시는 힘. 3.정려해탈등지등지지력 모든 해탈과 모든 선정을 아시는 힘. 4. 근상하지력 중생의 근기의 높고 낮음을 여실히 다 아시는 힘. 5. 종종승해지력 중생의 여러가지 의욕 경향을 다 아시는 힘 6. 종종계지력 중생들이 제각기 지니고 있는 갖가지의 성질을 있는 그대로 다 아시는 힘. 7. 편취행지력 일체처에 이르는 도를 여실히 다 아시는 힘. 8. 숙주수염지력 중생의 과거 세상을 다 아시는 지력. 9. 사생지력 중생의 나고 죽을을 보고 미래의 천함과 고귀함, 행복과 불행을 각각 업에 따라 다 아시는힘. 10. 누진지력 번뇌를 끊은 열반의 경지와 거기에 도달하기 위한 수단을 여실히 아시는 힘. 이처럼 부처님은 여래십호의 공덕과 10력, 6신통을 두루 갖추시어 중생을 교화하신다. 이는 오직 중생을 향한 대 자비심이다. (한국티벳불교사원 광성사 안내 ) 한국에 설립된 유일한 티벳 사찰로 티벳불교와 티벳 스승님 들의 말씀을 한국에 널리 전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고대 인도의 위대한 대사원인 날란다와 비까말라실라에서 부 처님의 가르침을 여러 논서를 통해 배우고 실천한 것과 같이 현재 티벳에서도 티벳어로 현교와 밀교 등 부처님의 가르침을 배 우고 있습니다. 한국티벳불교사원은 이러한 전통을 바탕으로 티벳 과 한국 두 나라의 불교문화 교류를 위해 설립되었습니다. 여러 논장을 통해 경전을 쉽고 깊게 배울 수 있도록 티벳어로 된 경과 논서들을 한국어로 꾸준히 번역하고 있으며, 부처님의 모 든 가르침의 핵심을 차례대로 배울 수 있는 [람림]을 가르치고 있습니다.그 외 티벳불교와 문화를 알리기 위해 입보리행론 법회와 티벳 큰스님 초청법회, 티벳불교 문화캠프, 티벳 명상, 티벳어 강좌 등 을 정기적으로 진행하고 있습니다.한국티벳불교사원은 티벳불교를 한국에 널리 전하기 위해 앞으로도 많은 노력을 기울이겠습니다. 우리 모두 한마음으로 삼보에 귀의하여 부처님의 가르침을 내 삶의 등불로 삼아 부지런히 배우고 실천하고자 수행 정진합시다. A.게시 소남 스님 강의 소개 게시 소남스님 께서는 현교, 밀교, 교법과 증법의 깊고 광대한 법문을 아래와 같이 강의를 하고 계십니다. 연기법의 지혜,티벳스님과 함께 하는 (반야심경)공부,티벳 스승들의 수행 이야기, 마음을 청정히 닦는 기도문,공덕의 근원,까담 스승 랑리 탕빠의 『마음 다스리는 여덟 가지 게송』외 삼요도 (출리심,보리심,공성의 바른견해),팔불중도의 중관사상,사대학파(종의 보만론),논리학의 딱셀(논리), 불교의 심류학,반야학,구사론,입보살행론,37보살행론,입중론,보만론,보리도등론등 수 많은 논서와 경을 오늘도 계속해서 강의를 하시며, 2 2020년1월22일 현재까지 게시 소남스님 음성 법문집에는1차~482차까지 3,098시간를 강의하셨으며, 동영상은 YouTube, Facebook에 현재 623강 동영상 법문이 올려져 있습니다. 밴드주소 광성사 band.us/@koreatibetcenter 다음카페주소 한국티벳센타 http://cafe.daum.net/koreatibetcenter 홈페이지 주소 광성사 http://www.koreatibetcenter.com/main/board.php?board=tb52&command=body&no=266 YouTube 주소 한국티벳불교사원 광성사 https://www.youtube.com/channel/UCWHAheBBkhJUtxEYJyTAPyA Facebook 주소 한국티벳불교사원 광성사 https://www.facebook.com/pg/sukkang1976/videos/?ref=page_internal B.법회 안내 1)수요일(매주)오후7시30분~9시30분. 날란다 전통방식에 의한 불교기초 강의 (2019년3월7일수요일 첫개강) 2)토요일(매주) 람림오후2시~5시30분.쫑카빠 대사님의 '보리도차제 광론' 강의 3)일요일(매주) 오후2시~5시30분.샨티데바(적천)보살의 '입보살행론' 강의 4) 1박 2일캠프 매월에 한번 (중론, 보만론.날란다17논사기원문.삼요도. 보리심석론 .밀라레빠십만송등 주로 논서 위주로 13시간 강의 및 대승 포살 수계 의식) 5)기타: 명상수련,티벳어학공부, 큰스님 초청 법회(린포체) C.기도 법회 1)팔천송반야바라밀다경 독경기도 매주 화,목요일 오후7시~8시30분 지도법사: 게시 소남 규메 스님 2)따라보살 기도, 티벳 대장경 천일 기도: 입재일~2018년5월29일, 밀교의식 기도(수호존 공양 기도)는 매월 월,화 오전1 0시이며 그외,바르도49제기도, 천도기도, 백중기도, 지장전 인등기도축원 3)후원개좌:농협 923-01-353560 D.주소및 연락처 주소;부산광역시 서구 해돋이로250 연락처:051-243-2468 -한국티벳불교사원 광성사 KOREA TIBET CENTER-
Мой аккаунт