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nday, 10 November, 2025г.
russian english deutsch french spanish portuguese czech greek georgian chinese japanese korean indonesian turkish thai uzbek

пример: покупка автомобиля в Запорожье

 

이익에 관한 한자어/사자성어 89개

이익에 관한 한자어/사자성어 89개У вашего броузера проблема в совместимости с HTML5
이익에 관한 한자어 및 사자성어를 자세하게 풀이해 드립니다. [이익에 관한 한자/한자어/사자성어 목록: 89개] 1) 借風使船(차풍사선): 바람을 빌려 배를 부린다는 뜻으로, 돈을 빌려 임시변통한다는 의미를 비유적으로 표현하는 말. 2) 私利私腹(사리사복): 사사로운 이익과 욕심. 3) 短池孤草長通市求利來(단지고초장통시구리래): 짧은 연못엔 외로운 풀만 길어나고, 시장(市場)을 통(通)하니 이익(利益)을 구(求)하여 옴. 4) 不費之惠(불비지혜): 자기에게는 해가 될 것이 없어도 남에게는 이익이 될 만하게 베풀어 주는 은혜. 5) 尺寸之利(척촌지리): 얼마 되지 않는 약간의 이익. 6) 濟度利生(제도이생): 중생을 제도하여 이익을 줌. 7) 蚌鷸之勢(방휼지세): 도요새가 조개를 쪼아 먹으려고 부리를 넣는 순간 조개가 껍데기를 닫고 놓지 아니한다는 뜻으로, 대립하는 두 세력이 잔뜩 버티고 맞서 겨루면서 조금도 양보하지 아니하는 형세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8) 得斧失斧(득부실부): 얻은 도끼나 잃은 도끼나 마찬가지라는 뜻으로, 얻고 잃은 것이 같아서 이익도 손해도 없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9) 蟹網具失(해망구실): 게도 그물도 다 잃었다는 뜻으로, 이익(利益)을 보려다 도리어 밑천까지 잃음을 비유(比喩)해 이르는 말. 10) 先公後私(선공후사): 공적인 일을 먼저 하고 사사로운 일은 뒤로 미룸. 11) 見利忘義(견리망의): 눈앞의 이익을 보면 의리를 잊음. 12) 背任受賂(배임수뢰): 본분의 임무(任務)를 어기고 부정(不正)한 청탁(請託)을 받으며 뇌물(賂物)을 받아 재산(財産) 상(上)의 이익(利益)을 취득(取得)하는 죄(罪). 13) 斷機之戒(단기지계): 학문을 중도에서 그만두면 짜던 베의 날을 끊는 것처럼 아무 쓸모 없음을 경계한 말. ≪후한서≫의 (열녀전(列女傳))에 나오는 것으로, 맹자가 수학(修學) 도중에 집에 돌아오자, 그의 어머니가 짜던 베를 끊어 그를 훈계하였다는 데서 유래한다. 14) 患得患失(환득환실): 물건이나 지위 따위를 얻기 전에는 그것을 얻으려고 걱정하고, 얻은 후에는 그것을 잃지 아니하려고 근심함. 15) 一樹百穫(일수백확): 나무 한 그루를 심어서 백 가지의 이익을 본다는 뜻으로, 유능한 인재 하나를 길러 여러 가지 효과를 얻음을 이르는 말. 16) 隴斷(농단): 농단(壟斷). (1) 깎아 세운 듯이 높이 솟은 언덕 (2) (옛날 어떤 사람이 높은 곳에 올라가 시장(市場)을 살펴보고 자기(自己) 물건(物件)을 팔기에 적당(適當)한 곳으로 가서, 시리(市利)를 독점(獨占)했다는 옛일에서)이익(利益)을 독점(獨占)함. 17) 長立待命(장립대명): 오래 서서 명령을 기다린다는 뜻으로, 권문세가(權門勢家)에 드나들며 이익을 얻고자하는 사람을 조롱하여 이르는 말. 18) 言之無益(언지무익): 말해 보아야 소용이 없음. 19) 氾愛兼利(범애겸리): 두루 사랑하고 이익을 겸한다는 뜻으로, 모든 사람을 골고루 사랑하고 이익을 같이 하는 일을 의미. 묵자(墨子)가 제창한 사상임. [汎愛(범애), 博愛(박애)로도 표현함]. 20) 蝙蝠之役(편복지역): 자기 이익만을 위하여 이리 붙고 저리 붙고 하는 줏대 없는 행동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21) 薄利多賣(박리다매): 이익을 적게 보고 많이 파는 것. 22) 福德圓滿(복덕원만): 복과 덕, 즉 행복(幸福)과 이익(利益)이 넘쳐흐를 정도(程度)로 가득함. 23) 仁言利博(인언이박): 어진 말은 이로움이 넓다는 뜻으로, 인덕(仁德)이 있는 사람의 말은 널리 대중에게까지 이익을 미친다는 의미. 24) 螳螂在後(당랑재후): 눈앞의 이익에만 정신이 팔려 뒤에 닥친 위험을 깨닫지 못함을 이르는 말. 25) 肥己之慾(비기지욕): 자기 몸만 이롭게 하려는 욕심. 26) 爭魚者濡(쟁어자유): 고기를 잡으려는 사람은 물에 젖는다는 뜻으로, 이익(利益)을 얻으려고 다투는 사람은 언제나 고생(苦生)을 면치 못함을 비유(比喩)하는 말. 27) 壟斷(롱단): ‘농단’의 북한어. 28) 臂不外曲(비불외곡): 팔은 안으로 굽지 밖으로 굽지 않음을 이르는 말. 29) 寄與補裨(기여보비): 이익을 주고 모자라는 것을 보탬. 30) 一擧兩得(일거양득): 한 가지 일을 하여 두 가지 이익을 얻음. 31) 勢利之交(세리지교) 32) 大利所關(대리소관) 33) 以夷制夷(이이제이) 34) 合本取利(합본취리) 35) 漁人之功(어인지공) 36) 錐刀之末(추도지말) 37) 布衣之交(포의지교) 38) 犧牲羊(희생양) 39) 百害無益(백해무익) 40) 漁人得利(어인득리) 41) 貪名愛利(탐명애리) 42) 漁人之利(어인지리) 43) 淸談(청담) 44) 蚤腸出食(조장출식) 45) 黃雀伺蟬(황작사선) 46) 蠅頭微利(승두미리) 47) 見利思義(견리사의) 48) 揠苗(알묘) 49) 貪小失大(탐소실대) 50) 善巧攝化(선교섭화) 51) 得失相半(득실상반) 52) 豐年化子(풍년화자) 53) 毫末之利(호말지리) 54) 匪躬之節(비궁지절) 55) 先難而後獲(선난이후획) 56) 蟹網俱失(해망구실) 57) 走獐落兎(주장낙토) 58) 憑公營私(빙공영사) 59) 借公濟私(차공제사) 60) 貪小利失大利(탐소리실대리) 61) 漁父之利(어부지리) 62) 有害無益(유해무익) 63) 我田引水(아전인수) 64) 徒勞無益(도로무익) 65) 犬兎之爭(견토지쟁) 66) 塞翁得失(새옹득실) 67) 兩得(양득) 68) 壟斷之術(롱단지술) 69) 漁翁之利(어옹지리) 70) 私腹(사복) 71) 豊年花子(풍년화자) 72) 經世致用(경세치용) 73) 擧一反三(거일반삼) 74) 雲心月性(운심월성) 75) 拔一(毛利天) 76) 慢招損謙受益(만초손겸수익) 77) 益者三樂(익자삼요) 78) 市道之交(시도지교) 79) 泥田鬪狗(이전투구) 80) 私利私慾(사리사욕) 81) 螳螂窺蟬(당랑규선) 82) 斷機之敎(단기지교) 83) 開卷有益(개권유익) 84) 漁夫之利(어부지리) 85) 江左七賢(강좌칠현) 86) 塞翁禍福(새옹화복) 87) 奇貨可居(기화가거) 88) 朝名市利(조명시리): 명예는 조정에서 다투고 이익은 시장에서 다투라는 뜻으로, 무슨 일이든 알맞은 곳에서 하여야 함을 이르는 말. 89) 大姦似忠(대간사충): 자신의 이익을 위해 나쁜 마음을 먹은 사람이 다른 사람에게 잘 보이려는 수단을 약삭빠르게 부려서 마치 충성하는 사람과 같아 보임. [Credits] Contents: https://wordrow.kr/한자/이익에-관한-한자-한자성어-사자성어/ Background music: Bensound https://www.bensound.com/royalty-free-music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및 공유 부탁드려요.
Мой аккаунт