욕심에 관한 한자어 및 사자성어를 자세하게 풀이해 드립니다.
[욕심에 관한 한자/한자어/사자성어 목록: 49개]
1) 私利私腹(사리사복): 사사로운 이익과 욕심.
2) 見物生心(견물생심): 어떠한 실물을 보게 되면 그것을 가지고 싶은 욕심이 생김.
3) 江山風月主人(강산풍월주인): 강산(江山)과 풍월(風月)을 차지한 주인(主人)이란 뜻으로, 경치(景致)가 좋은 산수(山水) 간(間)에서 욕심(慾心) 없이 즐겁게 살고 있는 사람을 이르는 말.
4) 三馬太守(삼마태수): 세마리의 말을 타고 오는 수령(守令)이라는 뜻으로, 재물(財物)에 욕심이 없는 깨끗한 관리, 청백리(淸白吏)를 이르는 말.
5) 淸白吏(청백리): (1)재물에 대한 욕심이 없이 곧고 깨끗한 관리. (2)조선 시대에, 이품 이상의 당상관과 사헌부ㆍ사간원의 수직(首職)들이 추천하여 뽑던 청렴한 벼슬아치.
6) 止足之戒(지족지계): 그치고 만족하는 경계라는 뜻으로, 자신의 분수를 알아 만족할 때 만족하여 더 이상 욕심을 부리지 않는 일의 의미.
7) 螳螂在後(당랑재후): 눈앞의 이익에만 정신이 팔려 뒤에 닥친 위험을 깨닫지 못함을 이르는 말.
8) 碩果不食(석과불식): 큰 과실을 다 먹지 아니하고 남긴다는 뜻으로, 자기만의 욕심을 버리고 자손에게 복을 줌을 이르는 말.
9) 大慾非道(대욕비도): 욕심(慾心)이 많고 무자비(無慈悲)함.
10) 激而行之(격이행지): 물을 막아 거꾸로 흘러가게 한다는 뜻으로, 사람의 본성(本性)은 착하지만, 욕심(慾心)이 그것을 가로막으면 악하게 됨을 이르는 말.
11) 肥己之慾(비기지욕): 자기 몸만 이롭게 하려는 욕심.
12) 望蜀(망촉): 만족할 줄을 모르고 계속 욕심을 부리는 경우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후한(後漢)의 광무제가 농(隴) 지방을 평정한 후에 다시 촉(蜀) 지방까지 원하였다는 데에서 유래한다.
13) 溪壑(계학): (1)시냇물이 흐르는 산골짜기. (2)끝이 없는 욕심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14) 鳥爲食死(조위식사): 새가 좋은 먹이를 찾다가 목숨을 잃는다는 뜻으로, 욕심(慾心) 때문에 몸을 망침을 비유(比喩)해 이르는 말.
15) 淸廉潔白(청렴결백): 마음이 맑고 깨끗하며 탐욕이 없음.
16) 竭澤而漁(갈택이어): 연못의 물을 말려 고기를 잡는다는 뜻으로, 일시적인 욕심 때문에 먼 장래를 생각하지 않음.
17) 克己復禮(극기복례): 자기의 욕심을 누르고 예의범절을 따름.
18) 江上風月主人(강상풍월주인): 산(江山)과 풍월(風月)을 차지한 주인(主人)이란 뜻으로, 경치(景致)가 좋은 산수(山水) 간(間)에서 욕심(慾心) 없이 즐겁게 살고 있는 사람을 이르는 말.
19) 見金如石(견금여석): 황금 보기를 돌 같이 한다는 뜻으로, 재물을 멀리하고 의리를 앞세운다는 의미. ◈ 고려말 충신인 최영 장군의 일화에서 최영의 아버지가 최영에게 남겨준 이야기.
20) 猿猴取月(원후취월): 원숭이가 물에 비친 달을 잡는다는 뜻으로, 욕심에 눈이 어두워 자기의 분수를 모르고 날뛰다가 목슴까지 잃게 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21) 無厭之慾(무염지욕): 만족할 줄 모르는 끝없는 욕심.
22) 病從口入(병종구입): 원래 병(病)이란 음식을 조심하지 않는 데에서 생긴다는 뜻으로, 지나친 구복(口腹)의 욕심을 삼가야 함을 이르는 말.
23) 豊取刻與(풍취각여): 넉넉하게 취하고 각박하게 나주어 준다는 뜻으로, 많이 차지하고 조금 주는 욕심이 많고 인색(吝嗇)함을 이르는 말.
24) 貪官汚吏(탐관오리): 백성의 재물을 탐내어 빼앗는, 행실이 깨끗하지 못한 관리.
25) 貪夫徇財(탐부순재): 욕심(慾心) 많은 사람은 재물(財物)이라면 목숨도 아랑곳하지 않고 좇음을 이르는 말.
26) 淸心寡慾(청심과욕): (1)마음을 깨끗이 하여 욕심을 적게 가짐. (2)마음이 깨끗하여 욕심이 적음.
27) 見奔獐放獲兎(견분장방획토): 달아나는 노루 보다가 잡은 토끼 놓친다는 속담(俗談)의 한역으로, 큰 것에 욕심을 내다가 도리어 자기가 가진 것마저 잃어버린다는 말.
28) 平隴望蜀(평롱망촉): 농(隴)을 얻고서 촉(蜀)까지 취하고자 한다는 뜻으로, 만족할 줄을 모르고 계속 욕심을 부리는 경우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후한(後漢)의 광무제가 농(隴) 지방을 평정한 후에 다시 촉(蜀) 지방까지 원하였다는 데에서 유래한다.
29) 平易淡白(평이담백)
30) 望蜀之歎(망촉지탄)
31) 貪多務得(탐다무득)
32) 懲忿窒慾(징분질욕)
33) 谿壑之慾(계학지욕)
34) 無慾恬淡(무욕염담)
35) 無我(무아)
36) 宿西食東(숙서식동)
37) 逐物意移(축물의이)
38) 長頸烏喙(장경오훼)
39) 兩脚野狐(양각야호)
40) 乞神(걸신)
41) 私腹(사복)
42) 取而不貪(취이불탐)
43) 逐鹿者不見山(축록자불견산)
44) 得隴望蜀(득롱망촉)
45) 空手來空手去(공수래공수거)
46) 雲心月性(운심월성)
47) 私利私慾(사리사욕)
48) 明鏡止水(명경지수): (1)맑은 거울과 고요한 물. (2)잡념과 가식과 헛된 욕심 없이 맑고 깨끗한 마음.
49) 逐鹿者不顧兎(축록자불고토): 사슴을 쫓는 자는 토끼를 돌아보지 않는다는 뜻으로, (1) 명예(名譽)나 욕심(慾心)에 사로잡힌 사람은 도리(道理)를 저버리거나 눈앞의 위험(危險)을 돌보지 않음의 비유(比喩) (2) 큰 일을 이루려는 사람은 작은 일에 사로잡히지 않음을 비유(比喩)해 이르는 말.
[Credits]
Contents: https://wordrow.kr/한자/욕심에-관한-한자-한자성어-사자성어/
Background music: Bensound https://www.bensound.com/royalty-free-music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및 공유 부탁드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