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세계적인 경기 침체가 길어지면서, 국내 수출입 화물의 99% 이상을 담당하는 해운 업계가 실적 악화로 고전하고 있습니다.
정부가 해운업 지원 방안을 마련했지만, 논란이 일고 있습니다.
왜 그럴까요?
조태현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2000년대 후반까지 호황을 누렸던 해운업.
하지만 2008년 전 세계에 불어닥친 금융 위기로 물동량이 줄어들면서 긴 부진의 늪에 빠졌습니다.
전 세계 교역량을 평가할 때 쓰는 발틱운임지수는 등락을 거듭하다, 지난해 말에는 478까지 떨어져, 1985년 이후 30년 만에 가장 낮았습니다.
이에 따라 국내 해운업의 양대 축인 한진해운과 현대상선의 실적에도 빨간불이 켜졌습니다.
끊임없는 구조조정으로 2014년 이후에는 조금씩 실적이 개선되는 듯했지만, 높은 부채 비율이 발목을 잡는 모양새입니다.
선박 가격이 워낙 비싸고, 배를 빌리는 비용도 만만치 않은 해운업 특성 때문입니다.
한때 1,000%가 넘었던 부채 비율을 어느 정도 낮추긴 했지만, 여전히, 일반적인 적정 수준으로 보는 200%를 훨씬 웃돕니다.
상황이 계속 나빠지자, 결국 정부가 지원 방안을 마련했습니다.
해운회사들이 선박을 도입할 때 도와주는 1조 4천억 원 규모의 펀드를 조성하기로 한 겁니다.
단, 지원 대상을 부채비율 400% 이하 기업으로 못 박았습니다.
[김용범 / 금융위원회 사무처장(지난달) : 용선(선박 대여)이 종료됐을 때 소유권이 선박 펀드에 남습니다. 해운회사가 매각과 선박 가격 하락 위험을 지지 않고….]
하지만 정작 당사자들의 반응은 싸늘합니다.
그동안 해운회사들이 선박과 터미널 등 핵심 자산까지 팔아 재무 구조를 개선한 상황에, 부채 비율을 더 낮추라는 건 사실상 지원을 하지 않겠다는 뜻과 같다는 겁니다.
[해운업계 관계자 : 이런 식의 대책이 참 안쓰럽다는 생각이 많이 들었습니다. 단적으로 유동성 지원이 시급하다고 할 수 있겠죠, 급한 유동성...]
특히 중국과 일본, 독일 등이 자국 해운업체를 보호하기 위한 대대적인 금융 지원에 나선 만큼, 자칫 국내 해운사들이 글로벌 경쟁에서 도태되는 것이 아니냐는 우려까지 나오고 있어, 이번 지원 방안을 둘러싼 논란은 당분간 이어질 전망입니다.
YTN 조태현[
[email protected]]입니다.
▶ 기사 원문 : http://www.ytn.co.kr/_ln/0102_201601110557269654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email protected], #2424
▣ YTN 유튜브 채널 구독 : http://goo.gl/Ytb5SZ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