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날에 관한 한자어 및 사자성어를 자세하게 풀이해 드립니다.
[옛날에 관한 한자/한자어/사자성어 목록: 44개]
1) 葉錢(엽전): (1)예전에 사용하던, 놋쇠로 만든 돈. 둥글고 납작하며 가운데에 네모진 구멍이 있다. 고려 시대의 삼한중보ㆍ삼한통보ㆍ동국중보ㆍ해동중보 따위와, 조선 시대의 조선통보ㆍ상평통보ㆍ당백전ㆍ당오전 따위를 들 수 있다. (2)우리나라 사람이 스스로를 낮잡아 이르는 말. (3)소나 말 같은 길짐승의 머리 앞부분에 장식으로 다는 둥글넓적한 금속.
2) 秋風索莫(추풍삭막): 가을바람이 황량하고 쓸쓸하게 분다는 뜻으로, 예전의 권세는 간 곳이 없고 초라해진 모양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3) 灞橋折柳(파교절류): 파교에서 버들가지를 꺾는다는 뜻으로, 灞橋는 장안 동쪽 파수에 걸린 다리 이름인데, 옛날 사람들이 이 다리에 이르러 버들가지를 꺾어 송별의 뜻을 전했던 것에서 유래하여 시상을 떠올리기 가장 좋은 곳의 의미로 사용됨.
4) 馬革裹屍(마혁과시): 말가죽으로 자기 시체를 싼다는 뜻으로, 싸움터에 나가 살아 돌아오지 않겠다는 결의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5) 隴斷(농단): 농단(壟斷). (1) 깎아 세운 듯이 높이 솟은 언덕 (2) (옛날 어떤 사람이 높은 곳에 올라가 시장(市場)을 살펴보고 자기(自己) 물건(物件)을 팔기에 적당(適當)한 곳으로 가서, 시리(市利)를 독점(獨占)했다는 옛일에서)이익(利益)을 독점(獨占)함.
6) 復古思想(복고사상): 복고적인 경향이 있는 사상.
7) 桑弧蓬矢(상호봉시): 남자가 큰 뜻을 세움을 이르는 말. 옛날 중국에서 남자가 태어나면 뽕나무로 만든 활과 쑥대로 만든 살을 천지 사방에 쏘아 큰 뜻을 이루기를 빌던 풍속에서 유래한다.
8) 萬古千秋(만고천추): 오래고 영원한 세월.
9) 墨守(묵수): 제 의견이나 생각, 또는 옛날 습관 따위를 굳게 지킴을 이르는 말. 중국 춘추 시대 송나라의 묵자(墨子)가 성을 잘 지켜 초나라의 공격을 아홉 번이나 물리쳤다는 데서 유래한다.
10) 塞翁馬(새옹마): 인생의 길흉화복은 변화가 많아서 예측하기가 어렵다는 말. 옛날에 새옹이 기르던 말이 오랑캐 땅으로 달아나서 노인이 낙심하였는데, 그 후에 달아났던 말이 준마를 한 필 끌고 와서 그 덕분에 훌륭한 말을 얻게 되었으나 아들이 그 준마를 타다가 떨어져서 다리가 부러졌으므로 노인이 다시 낙심하였는데, 그로 인하여 아들이 전쟁에 끌려 나가지 아니하고 죽음을 면할 수 있었다는 이야기에서 유래한다. 중국 ≪회남자≫의 ‘인간훈(人間訓)’에 나오는 말이다.
11) 七旬(칠순): (1)일흔 날. (2)일흔 살.
12) 倉氏庫氏(창씨고씨): 옛날 중국에서 창씨와 고씨가 대대로 곳집을 맡아보았다는 데서, 사물이 오래도록 바뀌지 아니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13) 太古順民(태고순민): 아득한 옛날의 순하고 선량한 백성.
14) 古色蒼然(고색창연): 오래되어 예스러운 풍치나 모습이 그윽함.
15) 南酒北餠(남주북병): 예전에, 서울의 남촌은 술맛이 좋고 북촌은 떡 맛이 좋다 하여 이르던 말.
16) 鷄狗馬之血(계구마지혈): 임금이나 신하가 맹세할 때에 신분에 따라 셋으로 구분하여 쓰던 희생의 피. 임금은 소나 말의 피를, 제후는 개나 수퇘지의 피를, 대부(大夫) 이하는 닭의 피를 마셨다.
17) 今昔之感(금석지감): 지금과 옛날의 차이가 너무 심하여 생기는 느낌.
18) 往古來今(왕고내금): 예전과 지금을 아울러 이르는 말.
19) 借書一瓻(차서일치): 책을 빌리면 술 한 병(甁). 옛날에 책을 빌릴 때와 돌려보낼 때의 사례(謝禮)로 술 한 병(甁)을 보낸 것을 이르는 말.
20) 束脩之禮(속수지례): 제자가 되려고 스승을 처음 뵐 때에 드리는 예물. 예전에, 중국에서 열 조각의 육포를 묶어 드렸다는 데서 유래한다.
21) 東西古今(동서고금): 동양과 서양, 옛날과 지금을 통틀어 이르는 말.
22) 筮子(서자): 처음으로 관리가 됨. 예전에 중국에서 처음 관직에 임명될 때에, 길흉을 점쳤던 일에서 유래한다.
23) 獻芹之誠(헌근지성): 정성을 다하여 남에게 선물이나 의견을 올리는 마음. 옛날에 미나리를 임금에게 바쳤다는 데서 유래한다.
24) 讀書尙友(독서상우): 책을 읽음으로써 옛날의 현인들과 벗이 될 수 있음을 이르는 말.
25) 杞人之憂(기인지우)
26) 弄瓦(농와)
27) 感舊之懷(감구지회)
28) 塞翁之馬(새옹지마)
29) 蝶夢(접몽)
30) 假夫子(가부자)
31) 馬上奉導(마상봉도)
32) 刑不上大夫(형불상대부)
33) 白身(백신)
34) 蒼鉛之望(창오지망)
35) 喪明之痛(상명지통)
36) 東史(동사)
37) 自古以來(자고이래)
38) 古今東西(고금동서)
39) 杏林(행림)
40) 鐘鳴鼎食(종명정식)
41) 擊鼓鳴金(격고명금)
42) 擊壤歌(격양가)
43) 社稷(사직): (1)나라 또는 조정을 이르는 말. (2)태사(太社)와 태직(太稷)을 아울러 이르는 말. (3)고대 중국에서, 새로 나라를 세울 때 천자나 제후가 제사를 지내던 토지신과 곡신.
44) 天高馬肥(천고마비): 하늘이 높고 말이 살찐다는 뜻으로, 하늘이 맑아 높푸르게 보이고 온갖 곡식이 익는 가을철을 이르는 말.
[Credits]
Contents: https://wordrow.kr/한자/옛날에-관한-한자-한자성어-사자성어/
Background music: Bensound https://www.bensound.com/royalty-free-music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및 공유 부탁드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