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unday, 14 September, 2025г.
russian english deutsch french spanish portuguese czech greek georgian chinese japanese korean indonesian turkish thai uzbek

пример: покупка автомобиля в Запорожье

 

雪(눈 설)에 관한 한자어/사자성어 30개

雪(눈 설)에 관한 한자어/사자성어 30개У вашего броузера проблема в совместимости с HTML5
雪(눈 설: 눈, 눈이 오다, 씻다, 희다, 깨끗하다)에 관한 한자어 및 사자성어를 자세하게 풀이해 드립니다. [雪(눈 설)에 관한 한자/한자어/사자성어 목록: 30개] 1) 雪上加霜(설상가상): 눈 위에 서리가 덮인다는 뜻으로, 난처한 일이나 불행한 일이 잇따라 일어남을 이르는 말. 2) 詠雪之才(영설지재): 여자의 뛰어난 글재주. 중국 진나라 사(謝) 씨의 딸이 시를 짓는데 눈을 보고 바람에 날리는 버들가지 같다고 한 데서 유래한다. 3) 三冬雪寒(삼동설한): 눈 내리고 추운 겨울 석 달 동안. 4) 雪中君子(설중군자): 눈 속의 군자라는 뜻으로, 사군자(四君子)의 하나인 매화의 딴 이름임. 5) 風霜雪雨(풍상설우): 바람과 서리와 눈과 비를 아울러 이르는 말. 6) 白蹀紛紛雪黃鶯片片金(백접분분설황앵편편금): 흰 나비는 날리고 날리는 눈과 같고, 누런 꾀꼬리는 조각조각 금과 같음. 7) 雪泥鴻爪(설니홍조): 눈 위에 난 기러기의 발자국이 눈이 녹으면 없어진다는 뜻으로, 인생의 자취가 눈 녹듯이 사라져 무상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8) 雪中四友(설중사우): 겨울에도 즐길 수 있는 네 가지 꽃. 옥매(玉梅), 납매(臘梅), 동백꽃, 수선(水仙)을 이른다. 9) 凍氷寒雪(동빙한설): 얼어붙은 얼음과 차가운 눈이라는 뜻으로, 심한 추위를 이르는 말. 10) 程門立雪(정문입설): 정(程)씨 문 앞에 서서 눈을 맞는다는 뜻으로, 제자(弟子)가 스승을 존경(尊敬)함을 이르는 말. 11) 萬古風雪(만고풍설): 아주 오랜 세월 동안 겪어 온 많은 고생. 12) 孫康映雪(손강영설): 어려운 가운데 열심히 공부함을 이르는 말. 중국 진(晉)나라의 손강(孫康)이 몹시 가난하여 겨울밤에는 눈빛으로 공부하였다는 데서 유래한다. 13) 秋凉黃菊發冬寒白雪來(추양황국발동한백설래): 가을이라 서늘하니 누런 국화(菊花) 피고, 겨울이라 추우니 흰눈이 옴. 14) 白鷺千點雪黃鶯一片金(백로천점설황앵일편금): 백로는 천점의 눈과 같이 희고, 누런 꾀꼬리는 한 조각의 금과 같음. 15) 螢窓雪案(형창설안): 반딧불이 비치는 창과 눈에 비치는 책상(冊床)이라는 뜻으로, 어려운 가운데서도 학문(學問)에 힘씀을 비유(比喩)한 말. 16) 車螢孫雪(차형손설): 차윤취형(車胤聚螢)과 손강영설(孫康映雪)을 아울러 이르는 말. 17) 伸寃雪恥(신원설치): 원한을 풀고 치욕을 씻는다는 뜻으로, 마음에 맺힌 원한을 풀고, 수치스러운 일을 씻어버린다는 의미. 18) 氷肌雪腸(빙기설장): 얼음 같이 맑은 피부와 눈 같이 깨끗한 장이라는 뜻으로, 몸도 마음도 결백함을 의미함. 19) 映雪讀書(영설독서): 눈(雪)빛에 비쳐 책을 읽는다는 뜻으로, 가난을 무릅쓰고 학문(學問)함을 이르는 말. 20) 螢雪(형설): 차윤취형(車胤聚螢)과 손강영설(孫康映雪)을 아울러 이르는 말. 21) 北風寒雪(북풍한설): 북쪽에서 불어오는 바람과 차가운 눈. 22) 雪中松柏(설중송백): 눈 속의 소나무와 잣나무라는 뜻으로, 높고 굳은 절개를 이르는 말. 23) 雪膚花容(설부화용): 눈처럼 흰 살갗과 꽃처럼 고운 얼굴이라는 뜻으로, 미인의 용모를 이르는 말. 24) 雪憤伸寃(설분신원): 분함을 씻고 원한을 푼다는 뜻으로, 마음에 맺힌 원한을 풀고 수치스러운 일을 씻어버린다는 의미. 25) 嚴冬雪寒(엄동설한): 눈 내리는 깊은 겨울의 심한 추위. 26) 紅爐上一點雪(홍로상일점설): (1)빨갛게 달아오른 화로 위에 한 송이의 눈을 뿌리면 순식간에 녹아 없어지는 데에서, 도를 깨달아 의혹이 일시에 없어짐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2)사욕(私慾)이나 의혹(疑惑)이 일시에 꺼져 없어짐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27) 螢雪之功(형설지공): 반딧불ㆍ눈과 함께 하는 노력이라는 뜻으로, 고생을 하면서 부지런하고 꾸준하게 공부하는 자세를 이르는 말. 중국≪진서(晉書)≫의 (차윤전(車胤傳))ㆍ(손강전(孫康傳))에 나오는 말로, 진나라 차윤(車胤)이 반딧불을 모아 그 불빛으로 글을 읽고, 손강(孫康)이 가난하여 겨울밤에는 눈빛에 비추어 글을 읽었다는 고사에서 유래한다. 28) 隆冬雪寒(융동설한): (1)‘융동설한’의 북한어. (2)눈 내리는 깊은 겨울의 심한 추위. 29) 大雪(대설): (1)아주 많이 오는 눈. (2)이십사절기의 하나. 소설과 동지 사이에 들며, 태양의 황경이 255도에 이른 때이다. 12월 8일경이다. 30) 紅爐點雪(홍로점설): (1)빨갛게 달아오른 화로 위에 한 송이의 눈을 뿌리면 순식간에 녹아 없어지는 데에서, 도를 깨달아 의혹이 일시에 없어짐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2)사욕(私慾)이나 의혹(疑惑)이 일시에 꺼져 없어짐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Credits] Contents: https://wordrow.kr/한자/雪에-관한-한자-한자성어-사자성어/ Background music: Bensound https://www.bensound.com/royalty-free-music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및 공유 부탁드려요.
Мой аккаунт