완전에 관한 한자어 및 사자성어를 자세하게 풀이해 드립니다.
[완전에 관한 한자/한자어/사자성어 목록: 25개]
1) 無量淸淨土(무량청정토): 아미타불이 살고 있는 정토(淨土)로, 괴로움이 없으며 지극히 안락하고 자유로운 세상. 인간 세계에서 서쪽으로 10만억 불토(佛土)를 지난 곳에 있다.
2) 萬全之計(만전지계): 실패의 위험이 없는 아주 안전하고 완전한 계책.
3) 桃源境(도원경): (1)이 세상이 아닌 무릉도원처럼 아름다운 경지. (2)인간이 생각할 수 있는 최선의 상태를 갖춘 완전한 사회.
4) 無餘涅縏(무여열반): 온갖 번뇌(煩惱)를 다 없애고 분별(分別)하는 슬기를 떠나 육신(肉身)까지도 없애어 완전(完全)히 정적(靜寂)으로 들어선 경지(境地).
5) 刻鵠類鶩(각곡유목): 고니를 조각하다가 실패하더라도 집오리와 비슷하게는 된다는 뜻으로, 큰 뜻을 가지고 노력하다 보면 작은 성과라도 이루게 됨을 이르는 말.
6) 滿場一致(만장일치): 모든 사람의 의견이 같음.
7) 短篇殘簡(단편잔간): 떨어지고 빠지고 하여서 완전(完全)하지 못한 모양(模樣).
8) 瑕玉(하옥): 흠이 없으면 완전(完全)한 것인데, 아깝게도 흠이 있어 결점(缺點)이 된다는 뜻으로, 옥에도 티가 있다는 말.
9) 安樂國(안락국): 아미타불이 살고 있는 정토(淨土)로, 괴로움이 없으며 지극히 안락하고 자유로운 세상. 인간 세계에서 서쪽으로 10만억 불토(佛土)를 지난 곳에 있다.
10) 萬全策(만전책): 실패의 위험이 없는 아주 안전하고 완전한 계책.
11) 斷簡零墨(단간영묵): 종이가 발명(發明)되기 전까지 종이 대신(代身) 썼던 대쪽과 먹 한 방울이라는 뜻으로, 종이 조각에 적힌 완전(完全)하지 못한 조각난 글월을 이르는 말.
12) 寸之玉必有瑕適(촌지옥필유하적): 아주 작은 옥에도 반드시 티가 있다는 뜻으로, 완전(完全)한 것이란 없음을 이르는 말.
13) 非夢似夢(비몽사몽): 완전히 잠이 들지도 잠에서 깨어나지도 않은 어렴풋한 상태.
14) 剛柔兼全(강유겸전): 굳세고 부드러운 성품을 아울러 가짐.
15) 江南橘化爲枳(강남귤화위지): 강남의 귤을 강북에 옮겨 심으면 탱자가 된다는 뜻으로, 사람도 장소(場所)나 환경(環境)에 따라 완전(完全)히 달라짐을 이르는 말.
16) 成人之美(성인지미): 남의 훌륭한 점을 도와 더욱 완전하게 함.
17) 萬全之策(만전지책): 실패의 위험이 없는 아주 안전하고 완전한 계책.
18) 面目一新(면목일신): 얼굴이 아주 새로워졌다는 뜻으로, 세상(世上)에 대(對)한 체면(體面)이나 명예(名譽), 사물(事物)의 모양(模樣), 일의 상태(狀態)가 완전(完全)히 새롭게 됨을 이르는 말.
19) 阿碌碌地(아록록지): 사실(事實)과 이치(理致)가 원만(圓滿)하여 완전 무애(宛轉無礙)한 것을 이르는 말.
20) 完璧(완벽): (1)빌린 물건을 정중히 돌려보냄. 중국 전국 시대 조나라의 인상여(藺相如)가 진(秦)나라의 소양왕이 열다섯 성(城)과 화씨(和氏)의 벽(璧)을 바꾸자고 하여 진나라에 갔으나 소양왕이 거짓말을 하고 있다는 것을 알고, 목숨을 걸고 그 벽을 고스란히 도로 찾아왔다는 데서 유래한다. (2)흠이 없는 구슬이라는 뜻으로, 결함이 없이 완전함을 이르는 말.
21) 被堅執銳(피견집예): 견고함을 입고 날카로움을 잡았다는 뜻으로, 갑주(甲冑)로 몸을 싸고 예리한 병기를 가지고 있는 것처럼 완전무장(完全武裝)함을 이르는 말.
22) 天衣無縫(천의무봉): (1)천사의 옷은 꿰맨 흔적이 없다는 뜻으로, 일부러 꾸민 데 없이 자연스럽고 아름다우면서 완전함을 이르는 말. ≪태평광기≫의 곽한(郭翰)의 이야기에 나오는 말로, 주로 시가(詩歌)나 문장에 대하여 이르는 말이다. (2)세상사에 물들지 아니한 어린이와 같은 순진함을 이르는 말. (3)완전무결하여 흠이 없음을 이르는 말.
23) 格物致知(격물치지): 실제 사물의 이치를 연구하여 지식을 완전하게 함. ≪대학≫에 나오는 말이다.
24) 安養界(안양계): 아미타불이 살고 있는 정토(淨土)로, 괴로움이 없으며 지극히 안락하고 자유로운 세상. 인간 세계에서 서쪽으로 10만억 불토(佛土)를 지난 곳에 있다.
25) 刻鵠類鵝(각곡유아): 고니를 새기려다 실패(失敗)해도 거위와 비슷하게는 된다는 뜻으로, (1) 성현(聖賢)의 글을 배움에 그것을 완전(完全)히 다 익히지는 못하더라도 최소한(最小限) 선인(善人)은 될 수 있다는 말 (2) 학업(學業)에 정진(精進)하여 어느 정도(程度) 성과(成果)가 있다는 말.
[Credits]
Contents: https://wordrow.kr/한자/완전에-관한-한자-한자성어-사자성어/
Background music: Bensound https://www.bensound.com/royalty-free-music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및 공유 부탁드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