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에 관한 한자어 및 사자성어를 자세하게 풀이해 드립니다.
[사용에 관한 한자/한자어/사자성어 목록: 312개]
1) 愚問賢答(우문현답): 어리석은 질문에 대한 현명한 대답.
2) 雪上加霜(설상가상): 눈 위에 서리가 덮인다는 뜻으로, 난처한 일이나 불행한 일이 잇따라 일어남을 이르는 말.
3) 甕算畵餠(옹산화병): 독장수의 셈과 그림의 떡이라는 뜻으로, 독장수가 독을 쓰고 꿈에서 셈을 하다 깨어 독이 깨졌다는 고사와 그림 속의 떡은 아무런 소용이 없다는 것에서 헛수고로 고생만 하거나 실속이 없음을 이르는 말로 사용됨.
4) 兩豆塞耳(양두색이): 두 콩으로 귀를 막는다는 뜻으로, 콩알 두 알로도 귀를 막으면 소리가 들리지 않는다는 것처럼 조그마한 것이 큰 지장을 초래함을 비유하여 주로 마음이 물욕에 가려지면 도리를 분별할 수 없음을 이르는 말로 사용됨.
5) 送舊迎新(송구영신): 묵은해를 보내고 새해를 맞음.
6) 深深山川(심심산천): 깊고 깊은 산천.
7) 通姓名(통성명): 처음으로 인사할 때 서로 성과 이름을 알려 줌.
8) 雁信(안신): 먼 곳에서 소식을 전하는 편지.
9) 抱痛西河(포통서하): 서하에서 고통을 품는다는 뜻으로, 공자의 제자 자하(子夏)가 서하에 있을 때, 그의 아들을 잃고 너무 비통한 나머지 실명한 고사에서 유래되어 자식을 잃고 슬퍼하는 일을 이르는 말로 사용됨.
10) 圓木警枕(원목경침): 둥근 나무로 만든 경계하는 베개라는 뜻으로, 둥근 목침으로 베개가 굴러 잠에서 깨도록 만든 것인데, 고학(苦學)을 비유해서 이르는 말로 사용됨.
11) 述者之能(술자지능): (1)글이 잘되고 못 되는 것은 쓴 사람의 능력에 달렸음을 이르는 말. (2)일이 잘되고 안되는 것은 그 사람의 수단에 달렸음을 이르는 말.
12) 男左女右(남좌여우): 음양설(陰陽說)에서, 왼쪽은 양이고 오른쪽은 음이라 하여 남자는 왼쪽이 소중하고 여자는 오른쪽이 소중함을 이르는 말. 맥, 손금, 자리 따위를 볼 때 여자는 오른쪽을, 남자는 왼쪽을 취한다.
13) 落花流水(락화류수): (1)떨어지는 꽃과 흐르는 물이라는 뜻으로, 가는 봄의 경치를 이르는 말. (2)살림이나 세력이 약해져 아주 보잘것없이 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3)떨어지는 꽃에 정(情)이 있으면 물에도 또한 정이 있어 떨어지는 꽃은 물이 흐르는 대로 흐르기를 바라고 유수는 떨어지는 꽃을 띄워 흐르기를 바란다는 뜻으로, 남녀가 서로 그리워함을 이르는 말. (4)춘앵전이나 처용무에서, 두 팔을 좌우로 한 번씩 뿌리는 춤사위. (5)1929년에 발매한 우리나라 최초의 창작 가요. 김서정(金曙汀)이 작사ㆍ작곡하고, 이정숙(李貞淑)이 노래하였다. 1927년에 만들어진 동명의 무성 영화의 주제가이다. (6)‘낙화유수’의 북한어.
14) 蜂目豺聲(봉목시성): 벌과 같은 눈과 승냥이 같은 목소리라는 뜻으로, 흉악한 인상을 이르는 말.
15) 走馬加鞭(주마가편): 달리는 말에 채찍질한다는 뜻으로, 잘하는 사람을 더욱 장려함을 이르는 말.
16) 葉錢(엽전): (1)예전에 사용하던, 놋쇠로 만든 돈. 둥글고 납작하며 가운데에 네모진 구멍이 있다. 고려 시대의 삼한중보ㆍ삼한통보ㆍ동국중보ㆍ해동중보 따위와, 조선 시대의 조선통보ㆍ상평통보ㆍ당백전ㆍ당오전 따위를 들 수 있다. (2)우리나라 사람이 스스로를 낮잡아 이르는 말. (3)소나 말 같은 길짐승의 머리 앞부분에 장식으로 다는 둥글넓적한 금속.
17) 毒樹毒果(독수독과): 독이 든 나무의 열매에도 독이 있다는 뜻으로, 법에 어긋난 방법으로 얻은 증거는 증거로 인정할 수 없음을 이르는 말.
18) 人生無常(인생무상): 인생이 덧없음.
19) 惜玉憐香(석옥연향): 옥을 소중히 아끼고 향기를 어여삐 여긴다는 뜻으로, 옥과 향을 사랑한다는 의미에서 옥과 향이 여자를 비유함으로 여색을 좋아한다는 의미로 사용됨.
20) 過麥田大醉(과맥전대취): 보리밭을 지나가도 크게 취한다는 뜻으로, 밀밭을 지나다 밀 냄새만 맡아도 취하는 것처럼, 술을 못 마시는 사람을 놀리는 말로 사용함.
21) 油頭粉面(유두분면): 기름 바른 머리와 분 바른 얼굴이라는 뜻으로, 여자의 화장한 모습을 이르는 말.
22) 心中有心(심중유심): 마음 속에 마음이 있다는 뜻으로, 마음으로써 마음을 견제한다는 의미에서 이성(理性)으로써 감성(感性)을 억제하는 것 같은 뜻으로 사용됨.
23) 活人之方(활인지방)
24) 面折廷爭(면절정쟁)
25) 而立之年(이립지년)
26) 北行至楚(북행지초)
27) 草綠同色(초록동색)
28) 三十六計(삼십육계)
29) 偃武(언무)
30) 止於止處(지어지처)
31) 灞橋折柳(파교절류)
32) 坦坦大路(탄탄대로)
33) 師弟同行(사제동행)
34) 稍解文字(초해문자)
35) 黑白不分(흑백불분)
36) 炮烙之刑(포락지형)
37) 覆巢破卵(복소파란)
38) 人命在天(인명재천)
39) 蒲柳之姿(포류지자)
40) 掃地黃金出(소지황금출)
41) 深山幽谷(심산유곡)
42) 村學究(촌학구)
43) 事事件件(사사건건)
44) 萬覇不聽(만패불청)
45) 尙有良心(상유양심)
46) 釜底抽薪(부저추신)
47) 難行苦行(난행고행)
48) 雲雨之情(운우지정)
49) 聲聞過情(성문과정)
50) 月下氷人(월하빙인)
51) 狼子野心(랑자야심)
52) 不惑之年(불혹지년)
53) 搜章摘句(수장적구)
54) 咳唾成珠(해타성주)
55) 非一非再(비일비재)
56) 立錐之地(입추지지)
57) 樗櫟之材(저력지재)
58) 兄肥弟瘦(형비제수)
59) 四十而不惑(사십이불혹)
60) 桑弧蓬矢(상호봉시)
61) 孤雛腐鼠(고추부서)
62) 得魚忘筌(득어망전)
63) 弄假成眞(롱가성진)
64) 柳綠花紅(류록화홍)
65) 不如歸(불여귀)
66) 魚鹽柴水(어염시수)
67) 國泰民安(국태민안)
68) 囊砂背水(낭사배수)
69) 一目十行(일목십행)
70) 獸聚鳥散(수취조산)
71) 活殺自在(활살자재)
72) 土牛木馬(토우목마)
73) 扶桑(부상)
74) 逆鱗(역린)
75) 聽而不聞(청이불문)
76) 有始無終(유시무종)
77) 汗出沾背(한출첨배)
78) 和光同塵(화광동진)
79) 餓狼之口(아랑지구)
80) 謹賀新年(근하신년)
81) 紅燈街(홍등가)
82) 面如冠玉(면여관옥)
83) 言身之文(언신지문)
84) 一瀉千里(일사천리)
85) 末大必折(말대필절)
86) 腐腸之藥(부장지약)
87) 類萬不同(유만부동)
88) 市賈不貳(시가불이)
89) 百戰老將(백전로장)
90) 黃裳綠衣(황상녹의)
91) 士大夫(사대부)
92) 牛溲馬勃(우수마발)
93) 四捨五入(사사오입)
94) 寡聞淺識(과문천식)
95) 試金石(시금석)
96) 毫髮不動(호발부동)
97) 晝出魍魎(주출망량)
98) 春雉自鳴(춘치자명)
99) 逆旅過客(역려과객)
100) 改玉改行(개옥개행)
101) 暴殄天物(포진천물)
102) 鐘鳴漏盡(종명누진)
103) 蟲臂鼠肝(충비서간)
104) 縫衣淺帶(봉의천대)
105) 高官大爵(고관대작)
106) 釜中之魚(부중지어)
107) 適口之餠(적구지병)
108) 白頭如新(백두여신)
109) 打草驚蛇(타초경사)
110) 宗廟社稷(종묘사직)
111) 鳳凰于飛(봉황우비)
112) 西瓜皮舐(서과피지)
113) 耳目口鼻(이목구비)
114) 風燈(풍등)
115) 舌根未乾(설근미건)
116) 篳路藍縷(필로남루)
117) 面壁九年(면벽구년)
118) 洞房華燭(동방화촉)
119) 橫草之功(횡초지공)
120) 碧昌牛(벽창우)
121) 白虹貫日(백홍관일)
122) 長生不死(장생불사)
123) 滄海一粟(창해일속)
124) 春露秋霜(춘로추상)
125) 玉昆金友(옥곤금우)
126) 黃金時代(황금시대)
127) 天地開闢(천지개벽)
128) 窈窕淑女(요조숙녀)
129) 活死人(활사인)
130) 泰而不驕(태이불교)
131) 比屋可誅(비옥가주)
132) 善男善女(선남선녀)
133) 游閑公子(유한공자)
134) 五臟六腑(오장육부)
135) 馬脚露出(마각노출)
136) 靑紗燈籠(청사등롱)
137) 冬扇夏爐(동선하로)
138) 狐鼠之盜(호서지도)
139) 借刀殺人(차도살인)
140) 片言折獄(편언절옥)
141) 壽福康寧(수복강녕)
142) 秋風扇(추풍선)
143) 水落石出(수락석출)
144) 一顧傾城(일고경성)
145) 壺裏乾坤(호리건곤)
146) 西施捧心(서시봉심)
147) 切磋琢磨(절차탁마)
148) 地醜德齊(지추덕제)
149) 土豪劣紳(토호열신)
150) 束脩之禮(속수지례)
151) 石破天驚(석파천경)
152) 河魚腹疾(하어복질)
153) 不知甘苦(부지감고)
154) 退藏(퇴장)
155) 碧眼紫髥(벽안자염)
156) 揭斧入淵(게부입연)
157) 食少事煩(식소사번)
311) 易子而敎之(역자이교지): 다른 사람의 자식은 내가 가르치고 내 자식은 다른 사람에게 부탁하여 가르친다는 말. ≪맹자≫의 (이루(離婁)) 상편에 나오는 말이다.
312) 無始無終(무시무종): (1)천주의 소극적 품성을 나타내는 말. (2)시작도 없고 끝도 없음. (3)우주의 근본 이치인 대아(大我)와 심체(心體)는 시작도 끝도 없이 항상 존재함. 진리 또는 진여(眞如)가 무한함을 이른다.
[Credits]
Contents: https://wordrow.kr/한자/사용에-관한-한자-한자성어-사자성어/
Background music: Bensound https://www.bensound.com/royalty-free-music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및 공유 부탁드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