鷄(닭 계: 닭 계)에 관한 한자어 및 사자성어를 자세하게 풀이해 드립니다.
[鷄(닭 계)에 관한 한자/한자어/사자성어 목록: 43개]
1) 割鷄牛刀(할계우도): 닭 잡는데 소 잡는 칼이라는 뜻으로, 닭을 잡는 데 소를 잡는 칼을 쓸 필요가 없는 것처럼 조그만 일을 처리하는 데에 지나치게 큰 수단을 쓸 필요는 없음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 割鷄 焉用牛刀(할계 언용우도) (論語(논어)) ].
2) 牛刀割鷄(우도할계): (1)소 잡는 칼로 닭을 잡는다는 뜻으로, 작은 일에 어울리지 아니하게 큰 도구를 씀을 이르는 말. (2)지나치게 과장된 표현이나 몸짓 따위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3) 使鷄司夜(사계사야): 닭으로 하여금 밤을 맡긴다는 뜻으로, 닭에게 밤 시각을 알리는 일을 맡기는 것처럼, 알맞은 인재에 적합한 일을 맡긴다는 의미.
4) 寧爲鷄口(영위계구): 차라리 닭의 부리가 된다는 뜻으로, 작은 일이라도 책임자가 될지언정 큰 사람 밑에서 지배받기는 싫다는 의미.
5) 鷄棲鳳凰食(계서봉황식): 닭집에서 봉황(鳳凰)이 함께 살면서 모이를 먹는다는 뜻으로, 충신(忠臣)이 천(賤)한 죄인(罪人)들과 함께 하는 삶을 비유(比喩)해 이르는 말.
6) 山鷄野鶩(산계야목): 산 꿩과 들오리라는 뜻으로, 성질이 사납고 거칠어서 제 마음대로만 하며 다잡을 수 없는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7) 逐鷄望籬(축계망리): 닭 쫓던 개 지붕 쳐다본다는 뜻으로, 애써 하던 일이 실패로 돌아가거나 남보다 뒤떨어져 맥이 빠진 경우를 이르는 말.
8) 鷄骨之床(계골지상): 몸이 쇠약(衰弱)해서 침상(寢床)에 기대어 몸을 지탱(支撐)함.
9) 割鷄焉用牛刀(할계언용우도): 닭을 가르는 데에 소잡는 큰 칼을 쓸 필요(必要)까지는 없다는 뜻으로, 조그만 일을 처리(處理)하는 데에 지나치게 큰 수단(手段)을 쓸 필요(必要)는 없음을 비유(比喩)해 이르는 말.
10) 鷄鶩爭食(계목쟁식): 닭과 집오리가 먹이를 서로 먼저 먹으려고 다툰다는 뜻으로, 여염(閭閻)의 사람들이 서로 다툼을 비유(比喩)해 이르는 말.
11) 鳥逐花間蹀鷄爭草中蟲(조축화간접계쟁초중충): 새는 꽃 사이의 나비를 쫓고, 닭은 풀가운데의 벌레와 다툼.
12) 鷄尸牛從(계시우종): 닭 대가리는 될지언정 쇠꼬리는 되어서는 안 된다는 말로, 남의 위에 서야지 남의 꽁무니에 따라다녀서는 안 됨을 비유(比喩)해 이르는 말.
13) 村鷄官廳(촌계관청): 촌닭을 관청에 잡아다 놓은 것 같다는 뜻으로, 경험이 없는 일을 당하여 어리둥절하고 있음을 이르는 말.
14) 鷄鳴狗吠(계명구폐): 닭이 울고 개가 짖는다는 뜻으로, 인가(人家)가 잇대어 있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15) 鷄狗馬之血(계구마지혈): 임금이나 신하가 맹세할 때에 신분에 따라 셋으로 구분하여 쓰던 희생의 피. 임금은 소나 말의 피를, 제후는 개나 수퇘지의 피를, 대부(大夫) 이하는 닭의 피를 마셨다.
16) 鷄皮鶴髮(계피학발): 피부는 닭의 살갗 같고 머리털은 학처럼 희다는 뜻으로, 늙은이를 이르는 말.
17) 鷄鳴丑時(계명축시): 첫닭이 울 무렵인 축시(丑時). 곧 새벽 한 시에서 세 시 사이를 이른다.
18) 牝鷄晨鳴(빈계신명): 암탉이 새벽에 운다는 뜻으로, 집안에서 여자가 세력을 부리면 집안이 망한다는 식의 잘못된 봉건 중세의 관념으로 변하고 고쳐져야 할 주장.
19) 鷄犬聲不到處(계견성부도처): '닭이나 개의 소리가 미치지 못하는 곳' 이란 뜻으로 '인가(人家)와 멀리 떨어진 외진 곳'을 비유(比喩)하는 말.
20) 家鷄野鶩(가계야목): 집의 닭을 미워하고 들의 물오리를 사랑한다는 뜻으로, 일상(日常) 흔한 것을 피(避)하고 새로운 것, 진기한 것을 존중(尊重)함을 비유(比喩).
21) 借鷄騎還(차계기환): 닭을 빌려 타고 돌아간다는 뜻으로, 손님을 박대(薄待)하는 것을 빗대어 이르는 말.
22) 鷄群一鶴(계군일학): 닭의 무리 가운데에서 한 마리의 학이란 뜻으로, 많은 사람 가운데서 뛰어난 인물을 이르는 말.
23) 鷄犬相聞(계견상문): 닭이 울고 개가 짖는다는 뜻으로, 인가(人家)가 잇대어 있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24) 鷄口(계구): 닭의 주둥이라는 뜻으로, 작은 단체의 우두머리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25) 鷄鳴之客(계명지객)
26) 七香鷄烝(칠향계증)
27) 鷄豚同社(계돈동사)
28) 偸鷄摸狗(투계모구)
29) 鷄窓(계창)
30) 鷄肋(계륵)
31) 貴鵠賤鷄(귀곡천계)
32) 鶴立鷄群(학립계군)
33) 鷄卵有骨(계란유골)
34) 函谷鷄鳴(함곡계명)
35) 陶犬瓦鷄(도견와계)
36) 鷄群孤鶴(계군고학)
37) 群鷄一鶴(군계일학)
38) 鷄鳴之助(계명지조)
39) 鷄鳴狗盜(계명구도)
40) 鷄鳴狗吠相聞(계명구폐상문)
41) 鷄田赤城(계전적성)
42) 家鷄野雉(가계야치): 집에 있는 닭과 들에 있는 꿩이라는 뜻으로, 가까이 있는 흔한 것은 천하게 여기고, 멀리 있는 드문 것을 귀하게 여김을 이르는 말.
43) 鷄口牛後(계구우후): 닭의 주둥이와 소의 꼬리라는 뜻으로, 큰 단체의 꼴찌보다는 작은 단체의 우두머리가 되는 것이 오히려 나음을 이르는 말. ≪전국책(戰國策)≫의 〈한책(韓策)〉과 ≪사기≫의 〈소진전(蘇秦傳)〉에 나오는 말이다.
[Credits]
Contents: https://wordrow.kr/한자/鷄에-관한-한자-한자성어-사자성어/
Background music: Bensound https://www.bensound.com/royalty-free-music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및 공유 부탁드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