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unday, 28 September, 2025г.
russian english deutsch french spanish portuguese czech greek georgian chinese japanese korean indonesian turkish thai uzbek

пример: покупка автомобиля в Запорожье

 

한때에 관한 한자어/사자성어 20개

한때에 관한 한자어/사자성어 20개У вашего броузера проблема в совместимости с HTML5
한때에 관한 한자어 및 사자성어를 자세하게 풀이해 드립니다. [한때에 관한 한자/한자어/사자성어 목록: 20개] 1) 割股充腹(할고충복): 빈속을 채우려고 허벅지의 살을 베어 먹는다는 뜻으로, 한때만 모면하려는 어리석은 잔꾀를 이르는 말. 2) 塞翁爲福(새옹위복): 한때의 이(利)가 장래(將來)에는 도리어 해가 되기도 하고, 화가 도리어 복이 되기도 함. 3) 血氣之勇(혈기지용): 혈기에 찬 기운으로 불끈 일어나는 용맹. 4) 黃粱之夢(황량지몽): 메조밥 짓는 사이의 꿈이라는 뜻으로, 인간 일생의 영고성쇠(榮枯盛衰)는 한바탕 꿈에 지나지 않는 인생의 덧없음을 이르는 말. [= 一場春夢(일장춘몽)]. 5) 一朝之患(일조지환): 어느 한때의 근심이나 재앙. 6) 南柯之夢(남가지몽): 꿈과 같이 헛된 한때의 부귀영화를 이르는 말. 중국 당나라의 순우분(淳于棼)이 술에 취하여 홰나무의 남쪽으로 뻗은 가지 밑에서 잠이 들었는데 괴안국(槐安國)의 부마가 되어 남가군(南柯郡)을 다스리며 20년 동안 영화를 누리는 꿈을 꾸었다는 데서 유래한다. 7) 千歲一時(천세일시): 단 한 번의 순간이라는 뜻으로, 좀처럼 만나기 어려운 좋은 기회를 이르는 말. 8) 回光返照(회광반조): 해가 지기 직전(直前)에 잠깐 하늘이 밝아진다는 뜻으로, (1) 머지않아 멸망(滅亡)하지만 한때나마 그 기세(氣勢)가 왕성(旺盛)함 (2) 죽기 직전(直前)에 잠깐 기운(氣運)을 돌이킴을 비유(比喩)해 이르는 말. 9) 姑息之計(고식지계): 우선 당장 편한 것만을 택하는 꾀나 방법. 한때의 안정을 얻기 위하여 임시로 둘러맞추어 처리하거나 이리저리 주선하여 꾸며 내는 계책을 이른다. 10) 目前之計(목전지계): 눈앞에 보이는 한때만을 생각하는 꾀. 11) 雨後竹筍(우후죽순): 비가 온 뒤에 여기저기 솟는 죽순이라는 뜻으로, 어떤 일이 한때에 많이 생겨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12) 負俗之累(부속지루): 지조가 고상하여 세속을 멀리하기 때문에 세상 사람들로부터 좋지 아니한 말을 들어야 하는 괴로움. 13) 塞翁得失(새옹득실): 한때의 이익이 장차 손해가 될 수도 있고 한때의 화(禍)가 장차 복을 불러올 수도 있음을 이르는 말. 14) 南柯夢(남가몽): 꿈과 같이 헛된 한때의 부귀영화를 이르는 말. 중국 당나라의 순우분(淳于棼)이 술에 취하여 홰나무의 남쪽으로 뻗은 가지 밑에서 잠이 들었는데 괴안국(槐安國)의 부마가 되어 남가군(南柯郡)을 다스리며 20년 동안 영화를 누리는 꿈을 꾸었다는 데서 유래한다. 15) 百花齊放(백화제방): (1)많은 꽃이 일제히 핌. (2)온갖 학문이나 예술, 사상 따위가 함께 성(盛)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중국의 예술 정책으로 한때 고창되던 말이다. 16) 盧生之夢(노생지몽): 인생과 영화의 덧없음을 이르는 말. 서기 731년에 노생(盧生)이 한단이란 곳에서 여옹(呂翁)의 베개를 빌려 잠을 잤는데, 꿈속에서 80년 동안 부귀영화를 다 누렸으나 깨어 보니 메조로 밥을 짓는 동안이었다는 데에서 유래한다. 17) 濫吹(남취): 무능한 사람이 재능이 있는 체하는 것이나 또는 실력이 없는 사람이 어떤 지위에 붙어 있는 일을 이르는 말. 중국 제(齊)나라 때에, 남곽이라는 사람이 생황을 불 줄 모르면서 악사(樂士)들 가운데에 끼어 있다가 한 사람씩 불게 하자 도망하였다는 데서 유래한다. 18) 此一時彼一時(차일시피일시): 그때는 그때이고 지금은 지금이다라는 뜻으로, 이때 한 일과 저 때 한 일이 서로 사정이 다름을 이르는 말. ≪맹자≫ (공손추(公孫丑))에 나오는 말이다. 19) 南柯一夢(남가일몽): 꿈과 같이 헛된 한때의 부귀영화를 이르는 말. 중국 당나라의 순우분(淳于棼)이 술에 취하여 홰나무의 남쪽으로 뻗은 가지 밑에서 잠이 들었는데 괴안국(槐安國)의 부마가 되어 남가군(南柯郡)을 다스리며 20년 동안 영화를 누리는 꿈을 꾸었다는 데서 유래한다. 20) 塞翁禍福(새옹화복): 한때의 이익이 장차 손해가 될 수도 있고 한때의 화(禍)가 장차 복을 불러올 수도 있음을 이르는 말. [Credits] Contents: https://wordrow.kr/한자/한때에-관한-한자-한자성어-사자성어/ Background music: Bensound https://www.bensound.com/royalty-free-music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및 공유 부탁드려요.
Мой аккаунт