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획에 관한 한자어 및 사자성어를 자세하게 풀이해 드립니다.
[계획에 관한 한자/한자어/사자성어 목록: 26개]
1) 擧棋不定(거기부정): 바둑을 두는 데 포석(布石)할 자리를 결정(決定)하지 않고 둔다면 한 집도 이기기 어렵다는 뜻으로, 사물(事物)을 명확(明確)한 방침(方針)이나 계획(計劃)을 갖지 않고 대함을 의미(意味).
2) 長遠之計(장원지계): 먼 앞날에 대한 계획.
3) 萬年之計(만년지계): 아주 먼 훗날까지 걸친 큰 계획.
4) 朝改暮變(조개모변): 아침저녁으로 뜯어고친다는 뜻으로, 계획이나 결정 따위를 자주 고침을 이르는 말.
5) 萬全之計(만전지계): 실패의 위험이 없는 아주 안전하고 완전한 계책.
6) 圖南(도남): 대붕이 날개를 펴고 남명(南冥)으로 날아가려고 한다는 뜻으로, 웅대한 일을 계획하고 있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장자≫의 (소요유편(逍遙遊篇))에 나오는 말이다.
7) 長久之計(장구지계): 어떤 일이 오래 계속되도록 꾀하는 계책.
8) 百年之計(백년지계): 먼 앞날까지 미리 내다보고 세우는 계획.
9) 虎前乞肉(호전걸육): 호랑이 앞에서 고기를 구걸한다는 뜻으로, ‘범에게 고기 달래기’로 표현하는 어림도 없는 일을 계획함을 비유하여 이르는 우리나라 속담.
10) 終身計(종신계): 한평생을 지낼 계획.
11) 朝夕變改(조석변개): 아침저녁으로 뜯어고친다는 뜻으로, 계획이나 결정 따위를 자주 고침을 이르는 말.
12) 朝變暮改(조변모개): 아침저녁으로 뜯어고친다는 뜻으로, 계획이나 결정 따위를 자주 고침을 이르는 말.
13) 革圖易慮(혁도역려): 계획을 고치고 생각을 바꾼다는 뜻으로, 도모하고 생각했던 내용을 고치고 바꾼다는 의미.
14) 經天緯地之才(경천위지지재): 온 천하를 조직적으로 잘 계획하여 다스리는 재주. 또는 그런 재주를 가진 사람.
15) 知小謀大(지소모대): 지력(知力)은 적으면서 도모함은 크다는 뜻으로, 자신의 능력에 넘치는 일을 계획함을 이르는 말.
16) 量入計出(량입계출): (1)수입을 헤아려 보고 지출을 계획함. (2)‘양입계출’의 북한어.
17) 狼狽(낭패): (1)‘낭패’의 북한어. (2)계획한 일이 실패로 돌아가거나 기대에 어긋나 매우 딱하게 됨.
18) 圖南之翼(도남지익): 붕새가 날개를 펴고 남명(南明)으로 날아가려고 한다는 뜻으로, 큰 사업(事業)을 계획(計劃)하고 웅비(雄飛)를 꾀함.
19) 計無所出(계무소출): 어려운 일을 당하여 온갖 계교를 다 써도 해결할 방도를 찾지 못함.
20) 經天緯地(경천위지): 온 천하를 조직적으로 잘 계획하여 다스림.
21) 計不入量(계불입량): 계획이 들어맞지 아니함.
22) 朝變夕改(조변석개): 아침저녁으로 뜯어고친다는 뜻으로, 계획이나 결정 따위를 자주 고침을 이르는 말.
23) 百發百中(백발백중): (1)백 번 쏘아 백 번 맞힌다는 뜻으로, 총이나 활 따위를 쏠 때마다 겨눈 곳에 다 맞음을 이르는 말. (2)무슨 일이나 틀림없이 잘 들어맞음.
24) 作之書之(작지서지): (1)자기 스스로 글을 짓고 씀. (2)자기가 계획하고 자기가 실천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25) 百年大計(백년대계): 먼 앞날까지 미리 내다보고 세우는 크고 중요한 계획.
26) 描虎類犬(묘호류견): 호랑이를 그리려고 했으나 개와 비슷하게 되었다는 뜻으로, 계획은 크게 세웠지만 실패하여 결과는 보잘것없음을 이르는 말.
[Credits]
Contents: https://wordrow.kr/한자/계획에-관한-한자-한자성어-사자성어/
Background music: Bensound https://www.bensound.com/royalty-free-music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및 공유 부탁드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