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uesday, 23 September, 2025г.
russian english deutsch french spanish portuguese czech greek georgian chinese japanese korean indonesian turkish thai uzbek

пример: покупка автомобиля в Запорожье

 

고혈압에 대하여...

고혈압에 대하여...У вашего броузера проблема в совместимости с HTML5
안녕하세요 건강과 관련해서 오늘날의 현대의학이 행하는 것 중에 약간의 오류속에서 시행되고 있는 몇가지 점에 대해서 생각해 보는 시간을 가져 보겠습니다 첫째는 고혈압에 대한 이야기인데요 한 30여년전에 제가 처음 약국을 시작했을 때 그당시에는 요즘처럼 인터넷이 있던 시절도 아니고 컴퓨터도 없었고 대부분 의료정보나 건강정보를 입수하는 형태가 신문을 통해서 알게 되던 시절이었죠 신문을 2~3개 심지어는 4개도 보던 시절인데요 신문에서는 가벼운 건강정보를 알 수 있는 정도이고 좀 더 전문적인 건강 상식을 접할 수 없어서 KIMs 나 임상약학에서 발행하는 월간 잡지를 돈을 주고 구독하기도 했었죠 그 당시 그런 자료들속에 분명히 기억하는 것은 고혈압 기준을 150이상으로 했었거든요 그런데 그 뒤로 10여년 이상 지나서 어느해 부턴가 140을 넘어가도 고혈압이라고 판정하는 시대가 되어 버리더라구요 한 때는 적정혈압을 본인 나이에 100을 더하면 된다고 하던 때도 있었어요 당연히 나이 먹으면 혈관탄력성이 줄어드니 나이 먹으면서 기본 혈압이 조금씩 올라가는 것은 당연한 이치 아니겠어요 물론 이 이론이 누구에게나 똑같이 적용 되지는 않겠지만, 건강검진상 다른 것은 아무 이상없는데 나이 60, 70 쯤에 혈압이 150정도 나온다고 꼭 혈압약을 먹어야 하느냐 한 번쯤은 고민해 볼 필요가 있어요 세계보건기구 WHO는 건강에 관련한 가이드라인을 규정해 주기도 하는데 그 WHO조차도 활동비나 경비를 다국적 거대 큰 제약회사로부터 후원금을 받는 경우가 많다고 하죠 그래서 WHO에서 고혈압 기준을 150에서 140으로 낮춰서 권고하면 수치 10 차이로 전세계 인구의 어마어마한 인구가 혈압약을 먹어야 되고 그럼으로해서 제약회사의 혈압약 매출은 천문학적인 액수로 늘어나겠죠 혈압약 부작용은 여러분들 처방 받을 때 그 안에 있는 설명서를 한 번 주~욱 읽어보세요 제약회사에서 신약을 개발할 때 임상실험까지 다 마치고 시판하는데 10년~15년 가까이 걸리기도 하고 임상실험에서 나타나는 치명적 부작용이 있을 수도 있는데 부작용에 대한 것은 자세히 알려주지 않는 경우도 많아요 긴시간동안 많은 자금이 투입 되었기 때문에 부작용을 무시하고 시판 되었다가 1~2년 내에 치명적 부작용으로 퇴출 되기도 하잖아요 치명적 부작용은 없지만, 우리가 접하는 일반적인 혈압약이라도 그런 약을 5년, 10년 먹다보면 그런 화학약품들은 결국 우리인체 세포막에 독소로 작용하게 되고 억지로 평균수명은 늘어나는 것 같은데 삶의 질은 결코 높아지지를 않아요 제가 개인적으로 가장 걱정하고 염려하는 부분이 평균수명이 길어지더라도 삶의 질이 떨어지지않는 방법이 어떤 것인가 하는 점이거든요 80대 이상 넘어서도 스스로 은행업무도 보러 다니시고 취미 생활도 하시고 대인관계도 활발하게 해서 남은 여생이 즐겁고 활기차고 행복한 삶을 누렸으면 하는 바램이거든요 제가 영상을 올릴 때 어떤 때는 일반인에게 약간 어려운 전문 내용을 올리는 이유는 제 영상을 보시는 분들은 조금씩 의학 지식을 높여서 스스로 본인 건강을 지킬 수 있기를 바라는 마음으로 그렇게 하는 것인데요 자꾸 보다보면 자세히는 몰라도 대략적으로 이해 하실 수 있을 겁니다 옛말에도 "알아야 면장 한다"고 했잖아요 많은 정보를 알고 있으면 병원에서 처방 받을 때나 건강 검진 결과에 대해서 설명해 줄 때 적절히 대응도 할 수 있거든요 혈압도 만성적인 염증으로 보거든요 혈관을 이루는 세포막에 트랜스지방이나 산화된 기름이 끼게 되면 산소가 세포안으로 못들어가고 튕겨 나가게 되고 혈관 세포막은 점점 탄력성을 잃게 되면서 수축과 이완이 잘 안되면서 혈압이 올라가게 되거든요 이제는 1년에 65세 이상 인구가 50만명씩 늘어난다고 해요 몇개월전에 영상에서도 간단히 설명 드린 적 있는데요 2026년 정도면 65세 이상 인구가 전체인구의 20%를 넘는 초고령사회로 진입 한다고 합니다 불과 6~7년 밖에 안남았는데요 건강에 아주 취약한 경우라 어쩔 수 없이 약을 먹어야 하는 상태가 아니라면 가벼운 경질환이나 경계성 질환 일 때는 가급적 약에 의존하지 마시고 건강한 식단과, 적절한 운동과 좋은 영양요법, 인체 친화적인 한방요법,자연요법 등으로 건강 관리를 잘 했으면 하는 바램입니다 현대의학의 모순점 두번째 세번째 이야기는 다음시간에 해 보겠습니다 이상으로 오늘 천약사의 건강과 약이야기는 여기서 마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Теги: 고혈압 혈압약

Мой аккаунт