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청와대 안팎 곳곳에 시민들이 드나들 수 있게 되면서 비상 상황이 발생할 가능성도 커졌습니다.
하지만, 외곽 경비를 담당하는 경찰 경비대는 돌발상황에 대처할 별도의 매뉴얼도 갖추지 않은 것으로 드러나 우려스럽습니다.
강진원 기자의 단독보도입니다.
[기자]
지난 2010년 연평도 피격 당시, 군과 정보당국은 북한 특수부대원이 청와대까지 침투할 수 있다는 첩보를 입수했습니다.
규모는 100명 정도.
정보 당국 관계자는 "당시 침투 첩보가 청와대 경비 담당 부서에 전달돼 비상이 걸린 적이 있다"고 말했습니다.
"청와대 비서실장을 만나겠다거나 정부 정책에 항의하겠다"며 청와대를 향해 차량으로 돌진하는 사례도 끊이지 않고 있습니다.
청와대 1차 방어선이라 할 수 있는 외곽 경비에 관심이 쏠릴 수밖에 없는 이유입니다.
YTN이 단독으로 확보한 서울지방경찰청 소속 202 경비대의 국회 답변서입니다.
각종 테러 위협 상황을 가정한 별도의 '대처 매뉴얼'은 없다고 적혀 있습니다.
구체적 지침이 없는 만큼 돌발상황에 제대로 대응하지 못했을 개연성이 있지만, 실제 일어났던 특이사항은 보안을 이유로 공개되지 않았습니다.
[경찰 관계자]
"청와대 외곽이라는 특수함을 갖고 있을 뿐이지, 다 경찰 업무거든요. 특화된 매뉴얼은 조금 아닌 것 같고요."
거리에 기초한 3단계 방어개념 외에 화생방 공격 등 각종 상황에 대비한 개별적 '대처 매뉴얼'까지 갖춘 군과 비교할 때 대조적입니다.
[배상훈, 서울디지털대 경찰학과 교수]
"청와대는 우리의 핵심이지 않습니까. 정치, 안보의 중핵인데 거기 외곽을 경비하는 사람들이 기본적인 매뉴얼이 없다. 대응 매뉴얼이 없다. 만약에 거기서 테러가 일어나면 어떻게 하느냐..."
1993년 청와대 앞길이 개방되면서, 경찰이 경비를 맡는 외곽에서 비상 상황이 발생할 가능성이 커졌습니다.
지난 2010년 이후 매년 50건 안팎의 테러 협박 사건이 발생할 정도로 중요 시설에 대한 공격 위협도 늘었습니다.
그만큼 1차 방어선 경비가 더 중요해진 겁니다.
돌발사태에 제대로 대응하기 위해선 여러 상황을 대비한 지속적인 훈련이 필수적입니다.
구체적 지침을 담은 대처 매뉴얼을 시급히 마련해야 하는 이유입니다.
YTN 강진원[
[email protected]]입니다.
▶ 기사 원문 : http://www.ytn.co.kr/_ln/0103_201505210617522690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email protected], #2424
▣ YTN 유튜브 채널 구독 : http://goo.gl/Ytb5SZ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