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nday, 15 September, 2025г.
russian english deutsch french spanish portuguese czech greek georgian chinese japanese korean indonesian turkish thai uzbek

пример: покупка автомобиля в Запорожье

 

從(좇을 종,시중들 종,높고클 총)에 관한 한자어/사자성어 50개

從(좇을 종,시중들 종,높고클 총)에 관한 한자어/사자성어 50개У вашего броузера проблема в совместимости с HTML5
從(좇을 종,시중들 종,높고클 총: 좇다, 시중들다, 높고 큰 모양, 숙부드럽다, 나아가다)에 관한 한자어 및 사자성어를 자세하게 풀이해 드립니다. [從(좇을 종,시중들 종,높고클 총)에 관한 한자/한자어/사자성어 목록: 50개] 1) 再從叔(재종숙): 아버지의 육촌 형제. 2) 舍己從人(사기종인): 자기(自己)의 이전(以前) 행위(行爲)를 버리고 타인(他人)의 선행(善行)을 본떠 행(行)함. 3) 三從叔母(삼종숙모): 삼종숙의 아내. 4) 見善從之(견선종지): 착한 일이나 착한 사람을 보면 그것을 따르라는 뜻. 5) 從叔(종숙): 아버지의 사촌 형제. 6) 從諫如流(종간여류): 물이 낮은 곳으로 흐르듯이 순순히 간언을 따름을 일르는 말. 7) 禍從口生(화종구생): 원래 화(禍)란 입으로부터 나온다는 뜻으로, 말을 삼가야 함을 이르는 말. 8) 從姑母(종고모): 아버지의 사촌 누이. 9) 一夫從事(일부종사): 한 남편만을 섬김. 10) 伯從祖(백종조): 아버지의 큰아버지를 이르는 말. 11) 內從妹夫(내종매부): 내종매의 남편을 이르는 말. 12) 面從腹背(면종복배): 겉으로는 복종하는 체하면서 내심으로는 배반함. 13) 釋服從吉(석복종길): 상복을 입는 기간이 끝나기 전에 상복을 벗고 일상복으로 갈아입는 일. 조선 시대에는 이러한 경우, ≪당률소의≫에 따라 도형(徒刑) 3년에 처하였다. 14) 鷄尸牛從(계시우종): 닭 대가리는 될지언정 쇠꼬리는 되어서는 안 된다는 말로, 남의 위에 서야지 남의 꽁무니에 따라다녀서는 안 됨을 비유(比喩)해 이르는 말. 15) 內從兄弟(내종형제): ‘고종형제’를 외종형제에 상대하여 이르는 말. 16) 從善如登(종선여등): 착한 일을 쫓아 하는 것은 산을 오르는 것과 같다는 뜻으로, 착한 일을 하는 것이 매우 힘들다는 말. 17) 面從後言(면종후언): 보는 앞에서는 복종하는 체하면서 뒤에서 비방과 욕설을 함. 18) 各從其類(각종기류): 각각 그 유를 따른다는 뜻으로, 만물은 다 동기(同氣) 동류(同類)끼리 서로 따름을 이르는 말. (易經). 19) 名從主人(명종주인): 사물(事物)의 이름은 원래 주인이 붙인 이름을 따른다는 뜻으로, 사물(事物)의 명칭은 현지의 호칭법(號稱法)을 따라야 함을 이르는 말. 20) 言聽計從(언청계종): 이야기하면 들어주고 계책을 세우면 따른다는 뜻으로, 매우 신임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21) 三從叔(삼종숙): 아버지의 팔촌 형제. 22) 三從之托(삼종지탁): 예전에, 여자가 몸이나 마음을 의지하여 맡길 세 가지 대상을 이르던 말. 어려서는 아버지를, 결혼해서는 남편을, 남편이 죽은 후에는 자식을 따라야 하였다. 23) 病從口入(병종구입): 원래 병(病)이란 음식을 조심하지 않는 데에서 생긴다는 뜻으로, 지나친 구복(口腹)의 욕심을 삼가야 함을 이르는 말. 24) 三從依托(삼종의탁): 예전에, 여자가 몸이나 마음을 의지하여 맡길 세 가지 대상을 이르던 말. 어려서는 아버지를, 결혼해서는 남편을, 남편이 죽은 후에는 자식을 따라야 하였다. 25) 從姑母夫(종고모부): 종고모의 남편. 26) 女必從夫(녀필종부): (1)아내는 반드시 남편을 따라야 한다는 말. (2)‘여필종부’의 북한어. 27) 投筆從戎(투필종융): 붓을 던지고 창을 쫓는다는 뜻으로, 학문(學問)을 포기(抛棄)하고 전쟁터로 나아감을 비유(比喩)하는 말. 28) 三從兄弟(삼종형제): 팔촌이 되는 형제. 재종숙의 자녀를 이른다. 29) 三從祖(삼종조): 할아버지의 육촌 형제. 30) 見善從之知過必改(견선종지지과필개): 착함을 보면 이를 따르고 허물을 알면 반드시 고쳐야 함. 31) 三從之德(삼종지덕): 예전에, 여자가 따라야 할 세 가지 덕을 이르던 말. 어려서는 아버지를, 결혼해서는 남편을, 남편이 죽은 후에는 자식을 따라야 하였다. 32) 夫死從子(부사종자): 남편이 죽으면 자식을 따라야 한다는 뜻으로, 과거 중세 아녀자의 도리에 대한 표현. 33) 合從連衡(합종연횡): (1) 전국시대(戰國時代)에 행(行)해졌던 외교(外交)방식(方式)으로 합종책(合從策)과 연횡책(連衡策)을 말함 (2) 약자(弱者)끼리 세로로 연합(聯合)하여 강자(强者)에게 대항(對抗)하거나, 약자(弱者)들이 가로로 나란히 서서 강자(强者)와 화해(和解)함. 34) 從善如流(종선여류): 선을 따르면 모든 것이 물과 같이 흐른다는 뜻으로, 정도를 지켜야 무난히 성공할 수 있음을 이르는 말. 35) 破器相從(파기상종) 36) 類類相從(유유상종) 37) 負芨從師(부급종사) 38) 逐日相從(축일상종) 39) 三從之禮(삼종지례) 40) 三從妹夫(삼종매부) 41) 再從姑母(재종고모) 42) 白衣從軍(백의종군) 43) 木從繩則正(목종승즉정) 44) 三從之法(삼종지법) 45) 從多數決(종다수결) 46) 三從(삼종) 47) 三從之義(삼종지의) 48) 內從四寸(내종사촌) 49) 從心所欲(종심소욕): 마음에 하고 싶은 대로 좇아서 함. ≪논어≫의 (위정(爲政)) 편에 나오는 말이다. 50) 三從之道(삼종지도): 예전에, 여자가 따라야 할 세 가지 도리를 이르던 말. 어려서는 아버지를, 결혼해서는 남편을, 남편이 죽은 후에는 자식을 따라야 하였다. ≪예기≫의 의례(儀禮) (상복전(喪服傳))에 나오는 말이다. [Credits] Contents: https://wordrow.kr/한자/從에-관한-한자-한자성어-사자성어/ Background music: Bensound https://www.bensound.com/royalty-free-music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및 공유 부탁드려요.
Мой аккаунт